역대급 전세난 예고…왜 오르고 언제까지 오르나 [부동산플러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입주 물량이 줄어든데다, 빌라를 떠난 사람들이 아파트만 찾으면서 전셋값 상승 압력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무서운 속도로 오르고 있는 서울 전셋값, 벌써 11개월째 상승세입니다.
부동산부 성낙윤 기자 나왔습니다. 성 기자, 서울 전셋값 한 달에 1억씩 오른다는 얘기가 들리는데, 도대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 겁니까?
<기자>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50주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2017년 1월 54주 연속 올랐던 것에 이은 '역대 네 번째'로 긴 연속 상승 기록입니다.
지난해 5월 넷째 주 상승 전환해서 1년 가까이 우상향하고 있는 건데요.
일례로, 성동구에 위치한 단지의 전용면적 84㎡ 전셋값은 11개월만에 1억2천만원 뛰었습니다.
특히 이번 주의 경우는 서울 25개 자치구의 전세가격이 일제히 올랐는데요.
성동과 노원, 강북, 광진, 은평 등이 0.1% 넘게 오르며 약진한 모습이었습니다.
최근 강남과 마·용·성에서 맴돌았던 온기가 외곽지역까지 퍼져나가고 있는 겁니다.
<앵커>
이런 상승세가 지속되는 원인이 뭡니까?
<기자>
전셋값 고공행진의 가장 큰 이유는 '매물 품귀'입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서울의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 9천여 건이었는데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30% 가까이 줄어든 수치입니다.
또,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이 2만 건대로 내려온 건 지난해 10월 이후 약 7개월 만입니다.
심지어는 하나의 단지에서 매물이 0건인 경우도 서울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앵커>
서울의 전세 매물이 1년 사이에 갑자기 없어진 이유는 뭘까요?
<기자>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세 품귀 현상은 입주 물량이 줄어든 것과 관련 있습니다.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약 2만4천가구인데요.
작년과 비교하면 21% 감소했습니다.
또, 서울의 적정한 신규 공급은 3,900가구 수준인데, 최근 3개월간의 신규 입주 물량은 월별로 1천 건을 하회했습니다.
신축 물량이 줄어들면서 수요자들이 전세로 몰려가는 겁니다.
여기에 더해서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비(非)아파트 기피 현상까지 이어지며 아파트 선호 현상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앵커>
전셋집 구할 때 대출을 안 끼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 같은데요.
금리는 계속해서 높은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는데, 이 영향은 없는 겁니까?
<기자>
낮은 이자에 전세 자금을 빌려주는 '정책 대출'로 우회가 가능하다는 평가입니다.
대표적으로 지난 1월 말 출시된 신생아특례대출은 주택 구매뿐만이 아닌 전세용으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이 밖에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등 주택 자금 관련 상품들이 많이 나와있는 상황입니다.
기존 전셋집에 살던 사람들은 계약을 갱신하며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올해 들어서 체결된 전세 계약 중 갱신 계약만 35%에 달하는데, 지난해와 비교하면 8%p 늘은 수치입니다.
<앵커>
가장 핵심적인 질문이겠죠.
전셋값 오름세가 앞으로도 이어질까요?
<기자>
우선 전세시장은 100% 실수요 시장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공급물량에 따라 전세가격이 결정되는 거죠.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이 대규모로 쏟아져 나오지 않는 이상 전셋값은 오를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실제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전망지수는 110.8을 기록했는데요.
'전셋값 상승'을 점치는 시각이 많다는 뜻입니다.
만약 금리가 급등해서 전세대출 이자보다 월세가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면 전세 수요가 일부 빠져나갈 수 있는데요.
현재로서는 금리의 '유지' 혹은 '하락'만 점쳐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부동산부 성낙윤 기자였습니다.
성낙윤기자 nyseo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