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개최…R&D 추진계획·인재 양성 이행 점검
정부, 올해 바이오헬스 R&D에 2조원 투입…인재 2만여명 양성
정부가 올해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R&D)에 2조원 넘게 투자하기로 했다.

의사과학자 등 바이오헬스 인재는 기존 계획보다 10%가량 늘려 2만2천여명을 양성한다.

정부는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열고 올해 R&D 추진계획과 내년 중점 지원 전략, 인재 양성 방안 등을 논의했다.

올해 11개 부처의 바이오헬스 R&D 투자 규모는 총 2조2천138억원으로, 국가 전체 주요 R&D의 약 10% 수준이다.

투자 분야는 글로벌 신약 개발 및 미래 유망기술 확보를 위한 신산업 육성(9천519억원), 국민 생명·건강(3천827억원), 백신·치료제 개발 등 보건안보(3천41억원) 등이다.

정부, 올해 바이오헬스 R&D에 2조원 투입…인재 2만여명 양성
부처별로는 보건복지부 7천884억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천377억원, 산업부 3천522억원, 질병관리청 1천681억원, 식품의약품안전처 942억원, 중소벤처기업부 699억원(금액 확대 예정) 규모로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바이오헬스 분야 인재 3만4천명을 양성한 데 이어 올해는 81개 사업을 통해 2만2천100명을 키워낼 계획이다.

올해는 애초 1만9천여명을 양성할 계획이었으나, 11% 늘렸다.

특히 올해부터는 신기술 분야에 대한 교육 수요를 반영해 정밀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교육을 확대할 예정이다.

의사과학자는 지난해 263명을 양성한 데 이어 올해 200명을 배출할 계획이다.

올해 의사과학자 양성에는 413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앞서 1차 회의에서 의사과학자 배출 수준을 현재 의과대학 졸업생의 1.6% 수준에서 선진국 수준인 3%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의사과학자는 임상 현장의 수요를 보건의료 연구개발과 연결해 산업 혁신과 국민건강 증진을 이끌 기술 개발의 핵심인력이라는 게 혁신위의 판단이다.

국내에서는 연간 3천여명의 의대 졸업생 중 기초의학 등 의사과학자로 진로를 잡는 경우가 선진국보다 적다.

정부는 인력 양성 사업 외에도 바이오헬스 인력구조를 파악해 향후 수요를 예측하고, 수요-공급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연구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혁신위원회에서는 현장의 요구가 많은 8개 규제개혁 과제의 개선방안도 논의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기업이나 연구자를 대상으로 의료데이터 공동 활용연구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의료데이터의 수요-공급 매칭을 지원하는 중개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환자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임상·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준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의료데이터 중계시스템인 '건강정보 고속도로'를 통한 정보·조회 전송도 지원한다.

유전자 검사기관 중 숙련도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기관은 다음 해 평가를 면제해주고, 국내 가명 의료데이터의 국외 이전에 대한 규제도 개선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효과적 의사결정 지원과 포괄적인 의견 청취를 위해 설치한 전문가 자문단(65명)을 통해 향후 보건환경 변화 등에 긴밀히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김영태 혁신위원회 부위원장(서울대학교병원장)은 "바이오헬스 분야는 미래 성장동력이자 보건안보 전략자산인 만큼 혁신위원회를 통해 해묵은 과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부처 간 칸막이 없이 총력을 다해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