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버2 도시' 부산도 소멸 위험
올해 부산 금정구 공덕초등학교 입학생은 7명에 불과했다. 공덕초처럼 신입생이 10명 미만인 부산의 초등학교는 올해 21곳으로 1년 전보다 6곳 늘었다. 자갈치시장으로 유명한 남포동에서는 지난해 신생아가 한 명도 태어나지 않았다. 자갈치시장이 속한 중구는 작년 합계출산율이 0.31명에 그쳤다. 전체 226개 기초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꼴찌다. 한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 부산의 현실이다.

1일 한국경제신문이 통계청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통계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 지난 2월 말 기준 부산의 소멸위험지수는 0.49로 지역 소멸 ‘위험’ 단계였다. 소멸위험지수는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비율이다. 수치가 낮을수록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0.2~0.5는 소멸 위험, 0.5~1.0은 주의 단계로 분류한다.

부산은 작년 12월(0.5)까지 주의 단계였지만 올 1월부터 위험 단계로 떨어졌다. 6개 광역시 중 소멸 위험 단계에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부산이 유일하다. 전체 17개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8곳(47.1%)이 소멸 위험 단계에 해당했다. 올 들어 부산과 충북 2곳이 추가됐다. 기초지자체 중 소멸 위험 지역은 작년 118곳에서 올해 126곳으로 불어났다.

기초지자체들은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경쟁적으로 출산 지원금 등을 늘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 예산으로 다른 지자체 인구를 뺏어오는 제로섬 정책을 펴고 있다”(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지적이 나온다.

강진규/부산=민건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