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5·6월 기준금리 인하론 흔들…7월 전망도"
채권시장, 예상웃돈 美물가에 금리인하 기대 수익률 모두 반납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온 가운데,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지난해 연말부터 올랐던 주요국 채권 가격도 상승분을 완전히 반납했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현지시간) 자체적으로 집계하는 세계 채권지수가 올해 들어 3.5% 하락,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지난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발표 전날이던 12월 12일 이후 상승분을 모두 토해냈다고 보도했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한국시간 작년 12월 11일 4.23%에서 12월 27일 3.79%까지 내려간 뒤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으며, 14일 장중 4.33%를 찍은 데 이어 오후 4시 기준 4.289%에서 거래되고 있다.

정책금리에 민감한 미 2년물 국채 금리도 4.603%로 지난해 12월 12일 수준으로 돌아간 상태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 역시 작년 12월 11일 0.74% 수준에서 12월 20일 0.53%대로 내려간 뒤 다시 상승 전환, 현재는 0.743%를 기록 중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해 12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 후 "(향후 관건은) 언제부터 정책 제약의 규모를 되돌리기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느냐에 대한 것"이라고 말해 '피벗'(정책 전환) 기대를 키운 바 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지난달 31일 FOMC 회의 후 "3월 FOMC 회의 때 (금리를 인하할 만큼) 확신에 도달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라고 말해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게다가 이날 발표된 미국의 1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해 시장 전망(2.9%)을 웃도는 등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아직 안심할 수준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TD증권의 프라샨트 뉴나하 전략가는 "1월 CPI가 게임체인저"라면서 "물가 압력이 위로 움직이기 시작할 실제적인 위험이 있다.

연준이 여기에 끼어들 수 없으며 채권 가격 추가 하락의 모멘텀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호주 펜달그룹의 에이미 셰 패트릭은 미 경제가 튼튼한 만큼 현재로서는 미 국채 투자가 매력적이지 않다면서, 미 국채보다는 회사채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블룸버그는 시장에서 7월 이전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지난달 중순만 해도 5월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해 연내 1.75%포인트를 내릴 것으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었지만, 5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일주일 전 64% 수준에서 32% 정도로 내려갔다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또 올해 금리 인하 폭도 0.9%포인트가 안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