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독일·오스트리아 공동 연구팀, 자살 보도 연구 소개
자살 기사 건수 줄고 내용 개선…제목·사진은 여전히 자극적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 준수, 예방에 긍정적 효과" 실험 결과
2000년대 들어 국내 일간지의 자살 보도가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방향으로 개선됐다는 연구 결과와 언론의 가이드라인 준수가 실제 자살 예방에 긍정적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란히 발표됐다.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주영기 교수팀이 독일·오스트리아 해외 연구진과 공동으로 2004∼2019년 조선일보와 한겨례신문의 자살 보도 606건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보도 패턴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 준수, 예방에 긍정적 효과" 실험 결과
국내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은 2004년, 2013년, 2018년 세 차례 발표됐는데, 연구진은 이들 가이드라인 발표가 실제 언론보도의 개선으로 이어졌는지 살펴보기 위해 세 차례 발표 직전의 6개월 구간과 마지막 발표 이후 6개월 구간 등에서 두 언론사가 보도한 관련 기사를 수집했다.

그 결과 자살 보도를 자제하라는 제언에 따라 관련 보도량은 2004년 218건, 2013년 232건에서 2018년 상반기 89건, 2018∼2019년 6개월 구간 101건으로 감소했다.

자살 보도가 추가적인 자살을 부추기는 '베르테르 효과'를 막기 위해 방법·장소·원인 등 구체적인 정보와 관련 사진을 싣지 않도록 하고, 지원기관 연락처 제시·위기 극복 사례·관련 통계 등 효능감 정보 제공 여부를 기사별로 점수화하는 'RRS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앞서 가이드라인이 발표되는 세 차례 시기 즈음의 두 언론사 자살 보도를 조사한 결과 RRS 평균 점수는 14점 만점에 2004년 6.7점, 2013년 6.8점이었으나 2018년 7.8점으로 향상되고 마지막 구간인 2018∼2019년에도 7.9점으로 올랐다.

그러나 제목과 기사 본문으로 나눠봤을 때 본문에는 가이드라인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였으나 제목 부분은 큰 개선이 없었다.

연구팀은 뉴스 소비자들의 눈길이 더 자주 가는 제목 등에서는 개선 조짐이 더디거나 오히려 악화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지속적인 기사 질 평가와 언론계의 자체적인 점검이 뒤따라야 한다고 제언했다.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 준수, 예방에 긍정적 효과" 실험 결과
가이드라인 준수가 실제 자살을 예방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실험 결과도 나왔다.

연구팀은 308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가이드라인이 제시하는 권고안을 따른 메시지와 그렇지 않은 메시지에 노출된 그룹 간 자살 관련 태도를 비교해 그 차이를 도출해냈다.

자살 위기 상담 지원 기관 연락처와 이를 통한 위기 극복 통계 등 효능감 관련 정보를 접한 실험 참가자들은 자살 충동 위기에 처한 사람을 도우려는 의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가상의 상황에서 극단적인 생각을 이야기하는 사람을 우연히 만났을 때 '인사하고 자리를 떠남', '자살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물어봄',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조언함', '좀 더 그 문제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은지 물어봄'이라는 네 가지 대응 행동 의지를 묻는 문항으로 자살 위기에 처한 사람의 지원 의사를 7점 척도로 알아봤다.

그 결과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효능감 정보들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기사를 본 그룹의 지원 의사는 평균 4.70을 기록한 데 반해 가장 많은 효능감 정보가 포함된 기사를 접한 그룹은 5.11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주 교수는 "2019년 이후의 보도 실태는 어떤지 확신할 수 없고, 자살 통계도 빠른 개선의 조짐은 보이지 않는 현실을 고려할 때 여전히 자살 보도에 대한 언론과 사회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 준수, 예방에 긍정적 효과" 실험 결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