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와 올 1월 전국 아파트 거래에서 '신고가' 비중이 역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과 부동산시장 침체기였던 2013년보다도 신고가 거래 비중이 낮아졌다. 거래가 침체되며 저가 매물로 수요자가 몰리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어 당분간 신고가 거래 비중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직방이 22일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토대로 신고가 거래 건수와 비율을 분석한 결과, 올 1월 전국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율은 3.9%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4.0%에 불과했다. 신고가 거래는 단지 내 동일 면적이 과거 최고가격보다 높은 매매가로 거래된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37만8183건으로 2022년 25만8591건보다 늘었음에도 신고가 거래 비율은 2022년 11.7%보다 7.7%포인트 내린 4.0%에 그쳤다. 집값 호황기였던 2021년(23.4%)과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이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6.6%), 2013년 경기 위축(6.7%) 때보다도 낮다.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가 경기 위축 영향으로 아파트 가격에 대한 매수자의 부담과 저항심리가 커져 고가거래가 실종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신고가 거래 비중에 차이가 나타났다. 올해 들어 신고가 매매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21.1%)였다. 그 뒤를 서울(9.1%), 강원(4.8%), 전남(4.6%), 부산(4.4%) 등이 뒤따랐다. 지난해도 전국에서 제주(19.1%)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서울(9.1%) 강원(7.2%) 부산(5.0%) 등이 높게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신고가 거래 감소세가 확연하다. 지난해 아파트 신고가 거래량은 3084건으로 2022년(3295건)과 비교해 211건 줄었다. 서울의 신고가 거래 비중은 2013년(3.6%) 2014년(5.0%)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낮은 수준이었다. 2021년에는 서울의 신고가 거래 비율이 52.6%로 절반을 넘기기도 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직방 관계자는 "거래 시장 위축으로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에만 반응하고 있다"며 "올해 거래 침체가 이어진다면, 아파트 신고가 총량이 평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할 것"이고 설명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