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때 네이버를 추격하며 포털시장 2위까지 치고 올라갔던 네이트의 존재감이 희미해지고 있다. 네이버·다음과 함께 국내 포털 3강(强)로 분류됐던 네이트는 2020 대대적인 서비스 개편에 이어 최근 인공지능(AI) 챗봇을 올해 포털 전면에 배치하는 등 지속적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유의미한 반전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아직도 쓰니?"…네이트 점유율 1% 미만 '굴욕'

지난 15일 기준 국내 포털 점유율. 사진=인터넷 트렌드 캡처
지난 15일 기준 국내 포털 점유율. 사진=인터넷 트렌드 캡처
16일 인터넷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는 비즈스프링의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현재 네이트의 점유율은 1% 미만으로 영향력이 미미하다. SK커뮤니케이션즈(SK 컴즈)가 운영하는 네이트는 1999년 서비스를 시작해 라이코스와 엠파스 등을 인수하고 메신저 네이트온과 싸이월드 서비스로 승승장구하며 2005년에는 네이버, 다음과 함께 3강으로 우뚝 올라섰다.

네이트에서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네이트 온'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MSN를 제치고 국내에서 사용자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스마트폰 시대 개막 이후인 2012년에는 포털 앱(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 다음 앱을 추월하고 네이버에 이어 2위에 오르기도 했다. 과거 SK텔레콤 가입자용 휴대폰에 전용 버튼이 생길정도로 영향력이 컸었다.

국내 포털 점유율 10%(2009년 말)를 넘기도 했던 네이트는 2011년 7월 3500만명에 달하는 가입자들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하고, 싸이월드 이용자 수 감소 등으로 점차 점유율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스마트폰 대중화와 카카오톡 확산 등으로 순식간에 주류 사업자에서 밀려나기 시작했다.

BI 바꾸고 AI 챗봇 도입…기사회생 안간힘 '네이트'

네이트 앱. 이미지=애플 앱스토어 캡처
네이트 앱. 이미지=애플 앱스토어 캡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네이트는 2020년 대대적으로 서비스 개편에 나섰다. 브랜드이미지(BI)를 11년 만에 바꾸고 주요 뉴스 키워드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오늘'을 도입했다. 주력 서비스 '네이트 온' 역시 업무용으로 특화해 이메일, 문자 메시지, PC 제어 등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개선했다. 코로나19 시기 재택근무에 용이한 '팀룸'과 '파일함' 등도 전면 개편했다.
네이트 모바일 메인 화면. 사진=네이트 홈페이지 캡처
네이트 모바일 메인 화면. 사진=네이트 홈페이지 캡처
최근 급부상한 생성형 AI 검색 '챗GPT' 역시 국내 포털 가운데 가장 빠르게 도입했다. 네이트는 지난 5월 국내 포털 가운데 처음으로 메인 화면에 챗봇 서비스 ‘AI챗’을 적용했다. 오픈 AI의 챗GPT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채팅 서비스가 제공된다.

모바일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지난달 자체 AI 검색 '큐:(Cue:)'를 도입한 네이버보다 6개월 빠른 적용 사례다. 지난 8월에는 메신저 대화방에도 'AI 챗' 기능을 넣는 등 다각도로 활로 모색에 나선 모습이다.

SK컴즈 관계자는 "새롭게 도입된 ‘네이트온 대화방 AI챗’ 기능은 다양한 주제가 오가는 메신저 대화창 내 보다 풍성하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지원 환경을 제공한다"며 "AI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접근성과 수용성을 넓히고자 적용됐다"고 설명했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