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인재 풍부한 인도…韓 외국인력 고급화 기대
HD현대와 삼성중공업은 올해 초부터 전문인력(E-7) 비자 제도로 인도 출신 근로자 수십~수백 명을 고용해 현장에 배치했다. 수백 명 규모의 인도 근로자가 국내 조선소에서 일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본국에서 주로 제조업에 종사해온 이들에 대한 현장 평가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 한 회사 관계자는 “업무 이해도가 높을 뿐 아니라 손기술도 상당히 좋다”며 “영어를 잘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에도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인도 등으로 비전문 취업(E-9) 비자 발급 대상을 확대하기로 한 것은 외국인 근로자가 필요한 분야가 점점 넓어지기 때문이다. 외국인이 주로 몸담았던 농어촌과 건설업, 식당 서빙과 같은 단순 노무뿐 아니라 조선과 철강 등 고도화된 제조업 전반에서도 사람 구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E-7은 전문성 확인 등 비자 발급 절차가 복잡해 대규모 인원을 채용하기엔 제약이 있다.

현장에선 제조업이 발달한 국가의 근로자를 선호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30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E-9 국가별 국내 체류자 수는 네팔이 4만5841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캄보디아(4만2150명)와 베트남(3만5340명), 인도네시아(3만3050명), 미얀마(2만5720명) 순이었다. 이 중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을 제외하고 제조업이 발달한 국가는 많지 않다. 영어 소통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300인 미만 주요 업종별 기업 615곳(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시행한 조사에서도 외국인 근로자 고용 시 ‘의사소통’(53.5%)을 가장 큰 애로 사항으로 꼽았다. 낮은 업무 숙련도도 11.1%였다. 정부 관계자는 “제조업 이해도가 높은 국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커지고 있다”며 “이런 의견을 고려해 송출국 확대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송출국 확대 리스트에 있는 인도와 리투아니아는 제조업 기반을 갖춘 국가다. 인도는 화학과 철강, 자동차 등 전통 제조업에 강점이 있다. 교육열이 높아 다양한 분야의 인재가 많다. 리투아니아는 레이저 기술 등 첨단 산업 분야에 강점을 보인다. 이강성 인도 강성글로벌 대표는 “조선소 현장의 인도 근로자에 대한 평가가 상당히 좋다”며 “비자가 확대되면 양질의 근로자가 들어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11만 명인 E-9 외국인 근로자를 12만 명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호텔·콘도 청소, 음식점 주방 보조같이 단순한 업무에 취업을 원하는 외국인에게도 E-9 비자를 허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는 단순 업무 시장에도 숨통이 트일 것이란 전망이다.

곽용희/김우섭 기자 ky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