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산불 원인 1위 '입산자 실화'…진화헬기·드론 등 배치
'인력·장비 확충' 가을 산행철 맞아 지자체 산불 예방 비상
가을이 깊어져 가는 가운데 지역별 유명한 산에 등산객이 몰리면서 산불 예방에 나서야 할 일선 지방자치단체들에 비상이 걸렸다.

산불 발생 원인으로 입산자 실화가 가장 많은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관리가 어려울 수밖에 없고, 산림 내 낙엽이 바짝 마른 상태가 지속돼 산불 위험이 커지는 상황이다.

산림청과 일선 자치단체는 산불 전문 진화대원 및 산불 진화 차량 확충, 산림 인접지 화재 원인 제거 등 노력을 하고 있지만 광범위한 면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최근 10년 평균 가을철 산불 29건…3건 중 1건은 입산자 실화
본격적인 단풍철과 겹치는 11월부터 시작되는 가을철 산불조심 기간 중 발생한 산불 3건 가운데 1건은 입산자 실화에 따른 것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10년 이 기간 평균 산불 발생 건수는 총 29건으로, 모두 8.8㏊의 피해가 났다.

주요 발생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11건(37%)으로 가장 많고, 소각 산불 5건(17%), 건축물 화재 2건(8%) 순이다.

'인력·장비 확충' 가을 산행철 맞아 지자체 산불 예방 비상
입산자 실화는 2020년 40%에서 2021년 42%로 증가 추세다.

산불 피해 면적의 경우 1㏊ 미만이 전체의 94%를 차지하지만, 기후변화 영향 등으로 산불이 연중·대형화하는 추세에 따라 철저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산림청은 입산자 실화 예방을 위해 산불 다발 지역은 엄격히 입산을 통제하고, 미발생 지역은 통제를 해제하는 등 빅데이터를 토대로 입산통제구역을 재조정한 상태다.

입산객이 증가하는 단풍철 이전에 언론·사회관계망(SNS) 등을 통해 산불 예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산불 위험이 큰 시간대 감시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드론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감시 사각지대에 집중적으로 배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주요 등산로에 산불감시원을 배치하고, 화기 소지자 등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 등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가을에는 건조한 날씨와 함께 단풍을 감상하려는 등산객이 늘면서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진다"며 "사소한 부주의가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산불 예방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줄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인력·장비 확충' 가을 산행철 맞아 지자체 산불 예방 비상
◇ 전국 지자체도 가을 산불 예방 잰걸음…첨단 장비 투입
전국의 자치단체도 가을철 산불 예방을 위해 첨단 장비를 확충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16일부터 산불방지대책본부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면서 산불 취약지와 탐방로에 산불감시원 5명을 전진 배치해 순찰·계도를 강화했다.

한라산 고지대 7곳(만세동산·장구목·방아오름·알방아오름·사라오름·성판악 1870고지·세오름)에 설치된 열화상 산불무인감시카메라와 무인카메라(어승생악·윗세오름·왕관릉·정상·1100고지)를 통해서도 산불을 감시하고 있다.

어리목 외 3개 지구 관리사무실·탐방로 등에는 등짐펌프·개인 진화장비세트 등 산불 진화장비 14종 1천98점을 배치했다.

내년에 소방안전교부세를 지원받아 산불 무인 감시카메라 1대를 추가 설치하고, 산림청 국비로 산불 진화 차량 1대, 고지대(진달래밭·윗세오름) 산불기계화시스템 2대 등을 설치할 예정이다.

충북도는 지난달 30일 산불감시원·진화대원 등 15명을 투입해 취약지역 감시활동을 하고 있다.

아울러 휴양림 등에 설치된 산불 소화 시설 점검도 병행하고 있다.

도는 19일부터 당초 계획보다 1대 적은 산불 진화용 헬기 2대를 투입할 예정이다.

대신 헬기 임차 기간을 165일에서 210일로 늘렸다.

'인력·장비 확충' 가을 산행철 맞아 지자체 산불 예방 비상
부산시는 화재예방조례에 따라 화재로 오인할 만한 행위 등의 신고가 있을 경우 과태료 처분(20만원)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문화재나 전통 사찰 등 소방차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 대한 진화 대책에 힘쓰고 있다.

자체 소화 용수 확보, 소화기, 비상 소화장치, 옥외소화전, 고성능 분무 펌프 등의 사찰 비치를 권장하고 초기 대응능력을 향상하는 소방 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산림 100m 이내 지역의 요양병원, 정신병원, 노인요양시설 등 피난 약자 시설에는 대피 유도 담당제를 운용한다.

경남도는 연말까지 도와 전 시·군에 드론 영상 관제시스템을 구축, 드론을 활용해 입체적으로 실시간 재난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인력·장비 확충' 가을 산행철 맞아 지자체 산불 예방 비상
도는 지난 6월 1일 재난안전 종합 지휘부인 재난안전상황실을 개소한 이후 폐쇄회로(CC)TV와 재난안전시스템(NDMS) 메시지에만 의존한 평면적 관리체계를 벗어나 드론을 활용한 입체적 재난 상황 관리체계로 전환하려고 이 사업을 추진했다.

이 시스템은 인파 밀집 현장, 급경사지와 교량·굴뚝 등 접근이 어려운 곳을 촬영한 드론 영상을 도와 시·군 재난안전상황 모니터에 연계해 재난 상황 관리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재난안전상황실에서는 50개 채널을 지켜보면서 드론 카메라 방향 조정과 영상 확대 등을 위해 원격제어 함으로써 종합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한 산불 감시와 잔불 진화 등 재난관리 전 분야에서 드론 장점을 살릴 사용 유형을 발굴할 계획이다.

'인력·장비 확충' 가을 산행철 맞아 지자체 산불 예방 비상
강원도 18개 시·군에서도 드론을 이용해 산불 감시 활동을 벌이는 한편 도 차원에서 산불 감시 자원을 고도화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도 산불방지센터 관계자는 "산불 연중 감시가 가능하도록 노후 장비의 성능을 개선하는 등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단계"라며 "산에서 발생한 연기를 CCTV가 더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센서 알림의 민감도를 높이는 등의 방식으로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김준호 강태현 천경환 김상연 장덕종 최해민 김선호 이승형 박정헌 우영식 고성식)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