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테헤란로 일대 오피스 빌딩 밀집 지역. 사진=한경DB
강남구 테헤란로 일대 오피스 빌딩 밀집 지역. 사진=한경DB
올해 2분기 서울 오피스 시장 공실률이 전분기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회사 JLL 코리아가 발표한 '2023년 2분기 서울 A급 오피스 시장 동향'에 따르면 2분기 서울 오피스 시장 평균 공실률은 2%를 기록했다. 전분기보다 0.94%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권역별로 보면 도심 권역 공실률은 전분기보다 0.46%포인트 오른 1.9%를 기록했다. 임차 계약이 끝난 기업들이 사옥을 옮기면서 벌어진 일시적 현상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강남 권역의 공실률은 전분기 대비 약 1.92%포인트 올라 2.3%를 기록했다. 이번 분기 준공된 스케일 타워의 영향이다. 다만 현대자동차 그룹이 스케일 타워 전 층을 임차할 예정이라 단기간에 공실이 해소될 전망이다. 여의도 오피스 시장의 공실률은 전분기 대비 약 0.37%포인트 내린 1.8%였다. 파크원에 임차인이 빠르게 몰리면서다.

심혜원 JLL 코리아 리서치 팀장은 "최근 서울 3대 권역 A급 오피스 시장은 활발한 임차 수요에 비해 신규 공급이 극히 제한적인 상황"이라며 "신규 공급이 일어나더라도, 오피스 시장에서는 드물었던 준공 이전 선임차가 일어나면서 공실이 빠르게 사라지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2023년 5월 서울시 권역별 오피스빌딩 공실률. 사진=JLL
2023년 5월 서울시 권역별 오피스빌딩 공실률. 사진=JLL
2분기 서울 A급 오피스의 월평균 실질 임대료는 전분기 대비 약 3.4%, 전년 동기 대비 16.5% 상승한 12만9700원으로 집계됐다.

강남 권역은 14만 원대를 돌파했다. 강남 A급 오피스의 월평균 실질 임대료는 전분기 대비 6.8%, 전년 동기 대비 21.3% 상승한 14만8600원을 기록했다. 도심 권역의 월평균 실질 임대료는 약 12만6600원으로, 전분기 대비 2%, 전년 동기 대비 12.9% 올랐다. 여의도 권역은 약 10만9200원으로 전분기 대비 0.5%, 전년 동기 대비 16.5% 뛰었다.

심 팀장은 "오피스 임대 시장의 견고한 펀더멘탈에 따라, 임대료는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뛰어난 입지 조건을 보유한 핵심 자산의 경우, 임대차계약이 만료되면 활발한 임차 수요를 바탕으로 높은 명목 임대료를 제시할 것"이라고 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