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서울 상업·업무용 빌딩도 '거래절벽'…감소폭 역대 최대
지난해 서울의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량이 국토교통부가 부동산 실거래가를 공개한 2006년 이래 가장 큰 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이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지난달 17일 기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량은 2천205건으로 전년(3천925건) 대비 43.8% 줄었다.

이는 국토부가 실거래가를 공개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작년 서울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금액도 전년 대비 32% 감소한 23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기준금리가 7차례 인상되면서 서울의 빌딩 매매도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권역별로 보면 영등포구·마포구는 지난해 거래가 246건에 그쳐 전년(507건) 대비 거래량이 반 토막(-51.5%)으로 줄었다.

이어 강남·서초구(-43%), 중구·종로구(-39.9%) 순으로 거래가 감소했다.

매매금액은 강남·서초구(-31.2%), 중구·종로구(-26.3%), 영등포구·마포구(-25%)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구별로는 마포구(-57.8%), 용산구(-52.3%), 종로구(-50%)에서 거래가 전년 대비 50% 이상 급감했다.

특히 구로구는 지난 한 해 동안 거래가 27건만 이뤄지면서 전년 대비 71.6% 줄어 가장 크게 감소했다.

금천구는 지난해 44건의 거래가 이뤄지면서 37.5% 증가해 홀로 거래가 늘었다.

작년 서울 상업·업무용 빌딩도 '거래절벽'…감소폭 역대 최대
한편 지난해 서울 상업·업무용 빌딩의 3.3㎡당 토지 가격(건물가격 포함)은 연평균 8천812만원으로 전년보다 12% 상승했다.

권역별로는 강남·서초구 1억4천929만원, 중구·종로구 1억827만원, 영등포·마포구 7천360만원 순으로 각각 12.3%, 20.4%, 3.8% 상승했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작년 1월부터 계속된 기준 금리 인상으로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시장도 직격탄을 맞으며 역대 가장 큰 거래량 감소 폭을 찍었다"고 진단했다.

이어 "금리 상승은 부동산 개발이나 투자를 위해 필요한 자금 조달 비용 증대와 수익률 하락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투자 대상 물건의 임대수익률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