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레고랜드발’ 단기자금 경색으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은 우량·비우량을 따지지 않고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의 PF 연장 실패는 유동성 위기가 우량 건설현장에까지 덮친 경우다.

초대형 재건축 사업장 둔촌주공까지…PF대출 연장 못해 시공사가 떠안는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BNK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SK증권, 부국증권, 키움증권 등은 7000억원 규모의 둔촌주공 PF 유동화 단기채 차환용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을 위해 전방위로 제안요청서(RFP)를 보냈지만 끝내 투자자를 찾지 못했다. 금융회사와 연기금은 물론 일반 법인과 사모펀드까지 찾아갔으나 소용없었다는 후문이다.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은 일반분양 물량만 4700가구에 달해 수익성이 보장된 사업장으로 평가된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은 “건설사와 증권사의 신용등급은 신뢰할 수 없다. 사업장 수지를 직접 확인하고 추가적인 돌발 위험은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며 투자를 꺼린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기존에 발행한 7000억원의 PF 전액을 현대건설(1960억원) HDC현대산업개발(1750억원) 대우건설(1645억원) 롯데건설(1645억원)이 자체 자금으로 갚게 됐다.

단기 자금시장 경색은 건설업계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다. 레고랜드 부도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지방자치단체 보증 민·관 합동 PF 사업이 많은 A, B사에 대해선 부도설까지 나돌고 있다. A1 신용등급 어음만 투자하도록 원칙을 정해 투자했던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와 펀드가 지자체 보증 채권은 더 이상 A1 채권으로 간주할 수 없다고 판단, 급속도로 자금을 회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사가 직접 시행사 자격으로 지자체 합작법인에 출자한 민·관 합동 사업은 연대보증 사업보다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 한 투자기관 관계자는 “군수·시장이 새로 당선돼 돈을 못 갚겠다고 하면 그만”이라며 “사업성을 따져 신용등급을 다시 평가해야 한다”고 전했다.

건설사들은 신규 프로젝트 ‘개점휴업’ 상태로 자금 경색이 풀릴 때까지 버티기에 들어갔다. 총 공사비만 4조3677억원에 달하는 둔촌주공 사업장도 내년 초 일반분양을 할 때까지 건설사의 자체 자금으로 버텨야 할 판이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공사 입찰 보증금 수십억~수백억원을 아끼기 위해 재건축·재개발 입찰 참여도 자제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차례로 만기가 돌아오는 건설사 회사채도 부담을 키우고 있다. 부동산 경기 하락 여파로 회사채 차환 발행이 막힌 건설사들은 자체 자금으로 상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으로 발행되는 유동화증권인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 가능성을 타진하는 대기업 계열 건설사도 나오고 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