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약시장에 ‘공공지원 민간임대’ 방식의 분양이 늘고 있다. 금리 인상에 목돈 대출이 부담스러워 월세로 전환하는 수요를 겨냥한 것이다.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 덕분에 불황기에 주거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얼어붙은 시장…공공지원 민간임대로 눈 돌려볼까
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국에서 공공지원 민간임대 청약이 마무리된 단지는 총 15곳이다. 이 가운데 청약경쟁률이 집계된 단지는 14건, ‘미달’되지 않고 청약을 무사히 마무리한 단지는 11건에 달했다. 서울 신림동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관악뉴포레는 일반분양 전용면적 59㎡ 경쟁률이 86.1 대 1에 달하는 등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공공지원 민간임대 주택은 공공임대주택의 저렴한 가격과 민간 건설회사의 상품 경쟁력 등을 합친 상품이다. 일반 임대료는 시세 대비 95% 수준(일반공급 청약자 기준)이며 신혼부부, 청년(19~39세), 고령자(65세 이상) 대상의 특별공급은 시세의 85% 이하로 책정된다. 지난 5일부터 분양을 시작한 부산 하단 롯데캐슬의 경우 가장 큰 전용면적 45㎡는 임대보증금 2000만원에 월세가 59만원 선이다.

또 다른 장점은 희망할 경우 장기 거주가 가능하다는 것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임대료 상승률은 연 5% 이내로 제한되며, 최대 8~10년까지 장기 거주가 가능하다. 임대보증금은 개인이 아니라 사업 시행자가 도맡아 관리하는 만큼 비교적 안전하게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주택 수 산정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취득세와 보유세 부담이 없다. 무주택자 자격을 계속 유지하면서 거주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곳으로 내집 마련을 위한 청약을 계속 노려볼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공공지원 민간임대 아파트의 분양성적이 좋은 것은 아니다. 지난달 말 분양한 경북 경산 하양지구 우미린 에코포레는 일반분양 99가구 모집에 83가구만 청약해 미달됐다. 올해 1월 분양한 전북 익산 라송 센트럴카운티도 일반분양 전용면적 84㎡가 551가구 모집에 306가구만 접수됐다.

이달에도 공공지원 민간임대 방식으로 동인천파크푸르지오, 대전 학하 포레나, 동탄역플라쎄더테라스 등 세 곳의 분양이 예정돼 있다.

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