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정권에 반기들고 사학 공공성 강화도 시도
실력 광주 퇴색·특정 세력 등 코드인사 비판받아
장휘국 광주시교육감 12년 임기 '촌지 근절·무상교육' 성과
장휘국 광주시교육감이 이달 말로 12년의 임기를 마친다.

전교조 출신인 장 교육감은 2010년 첫 교육감에 당선된 후 3선을 역임하면서 광주교육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장 교육감은 '참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시민들의 기대와 지지가 높았던 임기 초기에 교육 현장에서 촌지 근절과 무상교육 실현 등 강력한 쇄신과 변화 드라이브를 걸었다.

2010년께까지 학교 현장에서 만연했던 촌지는 장 교육감의 일벌백계 원칙에 따라 근절되기 시작해 2016년 김영란법(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과 맞물려 현재는 촌지가 거의 사라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 교육청 간부 공무원은 13일 "장 교육감의 강한 의지를 바탕으로 촌지가 근절됐다"며 "촌지 근절은 장 교육감 12년 체제에서 가장 큰 성과라는 데 큰 이견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휘국 광주시교육감 12년 임기 '촌지 근절·무상교육' 성과
장 교육감은 당선 직후인 2010년 9월 전국 최초로 초등학교 전 학년 무상급식을 선언하고 그해 11월부터 시행했다.

2011년엔 초·중학교 수학 여행비를 지원했고, 2012년엔 광역시 최초로 중학교 전 학년 무상급식을 하고 이후 고등학교, 유치원 순으로 무상급식을 확대하면서 무상교육의 성과를 보였다.

장 교육감은 보수정권의 교육정책에 반기를 들었다.

2015년 정부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자 "독재로의 회귀"라고 주장하고 교육부 앞 1인 피켓시위, 대안 교재 개발, 대국민 성명과 홍보활동 등을 전개했다.

또한 2016년에는 청와대 앞에서 누리과정(만 3∼5세 무상교육)에 대한 정부 책임을 촉구했다.

세월호·국정교과서 관련 시국선언 교사들에 대한 교육부 징계 요청도 거부하는 등 '강성이미지'를 보였다.

장 교육감은 전국 최초로 사립학교 교원들을 교육청에 위탁 채용하도록 하는 등 사학의 공공성을 강화했다.

또한 사립학교 비리에 대해 단호하게 대응했다.

이 때문에 사립학교와 갈등을 야기하고 사립학교의 자율성을 훼손했다는 이해당사자들의 반발에 부닥치기도 했다.

장 교육감은 내부 직원들에게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자율'을 존중했다는 긍정 평가도 받았다.

이는 역설적으로 조직의 긴장감을 떨어뜨리고, 임기 초반에 언론과 비협조적인 관계가 형성되면서 소통 부재 논란도 자아냈다.

장 교육감의 12년 체제는 '그림자'도 드리워졌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지난 10년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상위권 성적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등 '실력 광주' 명성이 퇴색했다는 비판 여론도 만만치 않다.

광주 수능 수험생들의 2010학년도 국어 1등급 비율은 전체 17개 시도 중 1위를 차지했으나, 2021학년도에는 8위를 기록했다.

또 2010학년도 영어 1등급 비율도 전체 17개 시도 중 2위를 차지했으나, 2021학년도에는 9위로 내려앉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관련, 광주 고교 방과 후 자율학습 완전 선택제가 전면적으로 도입되면서 2019학년도 이후부터 수능성적이 무너진 경향이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장 교육감 임기 내내 전교조를 필두로 한 특정 세력과 측근에 대한 인사를 둘러싼 비판과 잡음도 일었다.

임기 말에는 장 교육감 체제 초대 정책국장을 맡았다가 초등학교 교감으로 전보됐던 전교조 출신 인사가 다시 정책국장으로 돌아와 '회전문 인사'라는 지적을 받았다.

또한 시 교육청 인사·진학 담당 장학사와 장학관 등의 경력을 갖추지 못한 인물이 이례적으로 교육국장 자리에 앉는 등 '코드 인사' 논란도 일었다.

임기 막바지에는 3선에 대한 피로감과 학부모, 시민들의 전교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도드라지기도 했다.

광주 교육계 관계자는 "장 교육감은 촌지 근절과 무상교육을 필두로 혁신과 변화를 추구하면서 권위를 앞세우지 않는 교육정책을 표방했다"며 "실력 광주 명성 퇴색과 특정 세력 인사 논란은 향후 극복해야 할 과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