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의 월세화 가속"…서울아파트 월세 거래량 '최다'
전셋값 급등과 전세대출 규제 강화에 따라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전날까지 서울에서 월세가 조금이라도 낀 아파트 임대차 거래량은 5만6천169건으로, 1∼11월 기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월세·준월세·준전세를 통튼 전체 월세 거래량은 이미 지난해 1∼11월 월세 거래량(5만4천965건)을 넘어섰다.

1∼11월 기준으로 전체 월세 거래는 2011∼2012년 2만5천건대였다가 2013∼2014년 3만건대, 2015∼2019년 4만건대로 증가세를 보였고, 지난해 처음으로 5만건을 넘어서면서 종전 최다치를 기록했다.

올해는 이미 지난달(5만4천762건)에 5만건을 돌파하며 증가 속도가 훨씬 빨라졌다.

올해 1∼11월 월세 거래 비중은 전날 기준으로 36.4%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직전 1∼11월 최고치는 2016년의 34.7%였다.

월세 거래가 폭증한 것은 최근 금융 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로 전세자금대출이 막히고 지난해 7월 말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한 새 임대차법이 시행된 이후 전셋값 급등세가 지속하면서 이를 감당하지 못한 세입자들이 월세 시장으로 대거 유입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연합뉴스에 "고가주택 밀집 지역에서는 월세라도 받아 종부세를 내자는 생각으로 월세화가 가속화할 것"이라며 "가뜩이나 임대차3법과 저금리 등으로 집주인들이 월세를 선호하는데 점차 전세의 종말이 오고 월세가 큰 흐름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임대차법 시행과 대출 규제, 종부세 부담 급증이 월세 거래량 폭증과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이라며 "내년 8월 임대차법 시행 2년이 돌아오면서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했던 매물이 시장에 한꺼번에 나오면 월세 시장 불안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