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네트워크의 가치는 그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구성원의 수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메칼프의 법칙이다.  즉, ‘그 사람이 다른 사람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고, 필요할 때 그 네트워크를 얼마나 활용할 수 있는 가’가 때로는 사람의 잣대가 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보면 총무는 다른 사람에 비하여 중요한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
동호회 총무와 메칼프의 법칙
위 그림을 보면 두 사람일 때는 선이 하나뿐이고, 5명일 때는 10개로 늘어난다. 아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내가 연결할 수 있는 고리가 하나씩만 늘지 않고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이를 인터넷으로 비교하자면 ‘다음’이나 ‘야후’등의 메이저급 포탈 사이트와 기타 수많은 사이트의 관계이다. 인터넷 유저들은 효용가치가 높은 곳으로 모이게 되고, 따라서 방문자의 수는 점점 많아지고, 따라서 그 사이트의 효용은 더 높아지는 선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것은 똑같은 인터넷 사이트임에도 불구하고 ‘어째서 사이트간의 가치가 달라지는 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다가오는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미래의 사회가 80/20의 사회가 될 수밖에 없는 수많은 이유 중 매우 중요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메칼프의 법칙은 기술의 개발에서 나온 말 인만큼 정보통신 제품을 예로 들면 더 확실해진다. 가장 자주 인용되는 전화나 팩스는 소수가 사용할 때는 그 가치가 높지 않으나, 일단 상당히 많은 수의 사람들이 확인을 한 후부터 그 사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전화기가 온 세상에 100대가 있어 극히 소수의 사람만이 소유하였을 때는 전화기가 없어도 생활이 가능하였지만 1억대의 전화기에 지구 인구의 절반이상이 연결되어있는 지금은 전화가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 어렵다. 사용자의 수가 일정 수준(임계질량)에 도달하게 되면 해당 네트워크의 효용이 급증하게 된다. 문제는 이러한 임계질량에 도달하게 되는 시간이다. 전화만 하더라도 임계질량에 도달되기까지는 나라별로 조금씩 다르겠지만 적어도 20-3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의 경우는 1995년부터 민간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지만, 임계질량을 넘어서는 기간은 전화보다 훨씬 빨랐다. 인터넷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전자우편, web site, 인터넷 비즈니스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멧칼프의 법칙은 무어의 법칙과 더불어 급격한 디지털 현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기도 하지만 인간관계 폭 확장의 중요성도 보여준다. 인간관계도 질만큼이나 양도 중요한 시대가 도래했다.

그렇다면 나의 네트워크 가치는 얼마나 될까? 아마 10년 전보다는 급격히 올랐을 것이다. 왜냐하면 내가 총무라는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게 대략 그 때쯤이었으니까. 10년 전에 내가 알던 사람들은 고작해야 수십 명에서 백 수십 명을 넘지 않았고, 그나마 자주 연락하거나 하는 사이는 더욱 적었다. 구멍가게의 거래 선이라는 것이 많을 수가 없었고, 동창회나 글 쓰는 모임에도 나가지 않았었다. 그런데 총무를 몇년한 지금 내 핸드폰에는 대략 3000명의 전화번호, 트위터, 페북을 합치면 또 그만큼의 친구들이 있다. 멧칼프의 법칙에 의하면 내 네트워크의 가치는 총무를 하면서 크게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