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예쁜 발

                                         고두현




우예 그리 똑 같노.



하모, 닮았다 소리 많이 듣제.

바깥 추운데 옛날 생각나나.

여즉 새각시 같네 그랴.

기억 왔다 갔다 할 때마다

아들 오빠 아저씨 되어

말벗 해드리다가 콧등 뜨거워지는 오후.

링거 줄로 뜨개질을 하겠다고

떼쓰던 어머니, 누우신 뒤 처음으로

편안히 주무시네.



정신 맑던 시절

한 번도 제대로 뻗어보지 못한 두 다리

가지런하게 펴고 무슨 꿈 꾸시는지

담요 위에 얌전하게 놓인 두 발

옛집 마당 분꽃보다 더

희고 곱네. 병실이 환해지네.



병실에 도착해서 처음 들은 말이 “어쩌믄 이리 닮았누. 꼭 우리 아덜 같네”였다. 독한 약과 주사에 지친 탓이라 생각은 했지만, 아들까지 못 알아보시다니 명치끝이 아릿해 왔다. “접니다. 어머니”하고 거듭 말씀드렸는데도 계속 딴소리만 하셨다. 나중에는 “오빠”라고 하시더니 급기야 “아저씨”라는 호칭까지 나왔다.

그렇게 사오정 같은 대화가 몇 번 오갔다. 처음 기가 막히고 억장 무너지던 기분이 차츰 가라앉고 나자 나는 어머니의 ‘오빠’가 되고 ‘아저씨’가 되어 함께 맞장구를 치며 놀았다. “하모, 닮았단 소릴 많이 듣제. 오늘은 새각시 같네 그랴….”

그러면 어머니는 정말 새색시처럼 수줍게 웃으셨다. 점심 때 쯤엔 온 식구들이 병원 복도까지 들릴 정도로 함박웃음을 터뜨렸다. 어머니는 가끔 정신이 돌아올 때마다 언제 그랬냐는 듯이 내 손을 포개 잡고는 흐뭇해하셨다. 그러다가는 금세 뜨개질을 한다며 링거 줄을 이리 감고 저리 풀곤 하셨다.

당신의 일생을 필름처럼 되감아 보는 중이었을까. 일흔네 해의 생애가 한 편의 비디오로 재생되는 동안 병실에서는 몇 번의 웃음꽃이 피고 눈물바다가 이어지고 또 소꿉놀이가 계속됐다.

오후 들어 햇살이 따뜻해지자 어머니는 낮잠에 드셨다. 담요 위에 두 다리를 가지런하게 펴고 잠든 모습이 너무나 편안해 보였다. 정신 맑은 시절에는 한 번도 제대로 뻗어보지 못한 두 다리. 평생 가난 속에서 혹 사람 도리 못할까 가슴 졸이며 헤쳐 온 굽이길.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로 어머니는 행여 ‘애비 없는 자식’ 소리 듣지 말라고 각별히 당부하셨다. 그리고는 발바닥이 쩍쩍 갈라지는 길을 묵묵히 걸어오셨다.

내가 자란 남해는 섬이어서 쌀도 귀하고 돈도 귀했다. 가뜩이나 없는 살림에 객지 공부를 시키면서 어머니의 발톱은 얼마나 많이 닳았을까. 삶의 끝자락에 누우신 뒤 처음으로 편한 잠 주무시는 어머니를 내려다보며 나는 병실 창가에 오래 서 있었다.

공연히 콧등이 시큰해져 고개를 들었다 다시 내려다보니 아, 무슨 꿈을 꾸는지 어머니가 가뭇가뭇 웃으셨다. 나도 따라 웃다가 이불 밖으로 빠져나온 발을 살며시 만져보았다. 햇살을 받아 눈부신 두 발이 옛집 마당가의 분꽃보다 더 희고 고왔다.

그때 병실에서 쓴 시가 ‘참 예쁜 발’이다. 어머니는 외환위기 와중인 1989년에 돌아가셨다. 해마다 이맘때면 더욱 생각나는 어머니. 오늘 그 예쁜 발을 다시 한 번 만져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