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과 광역·기초자치단체들이 앞다퉈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나섰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 지구 온난화 등 세계적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실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개념이다.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을 국가 장기 비전으로 정식 채택하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마련
산림청은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 전략안에 △산림의 탄소흡수력 강화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등 4대 정책과 12대 핵심과제를 담았다.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연간 4560만t으로 국가 총 배출량(7억3000만t)의 6.3%를 상쇄하고 있다. 그러나 1970~1980년대 치산녹화 시기에 집중적으로 조성한 산림의 노령화가 가속화하고 있어 현재 추세대로라면 2050년께 탄소 흡수량이 1400만t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산림청은 먼저 베고, 심고, 쓰고, 가꾸는 산림선순환사업으로 26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매년 2800만t의 탄소를 흡수할 계획이다. 노령림에 편중된 경제림을 탄소순환림으로 바꾸고 탄소 흡수량이 최대가 되는 시점에 나무를 베도록 시기를 조정하기로 했다.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에 250만㏊ 이상의 해외 조림지를 조성해 연간 500만t의 탄소 감축 실적도 확보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산림의 탄소 흡수량은 2050년 기존 1400만t에서 3400만t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산림청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벌채를 확대할 계획이다. 목재생산림 면적(약 216만1000㏊)을 평균 벌채 주기(50년)로 나눴을 때 매년 4만3000㏊를 벌채해야 한다. 이를 통해 2035년까지 국산 목재 자급률을 30%로 확대할 계획이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탄소중립 이행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탄소중립과 일자리 창출 윈-윈
지방자치단체들이 탄소중립을 일자리 창출과 연계하고 있다. 강원도는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인 순 배출량 3440만t 이상의 온실가스를 오는 2040년까지 0으로 하는 중장기 목표를 설정했다. 그린뉴딜 실현을 위해 탄광지역인 태백 일원에 2025년까지 국비 등 2727억원을 투입해 플라즈마 그린수소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태백이 석탄의 대체 산업인 그린수소로 미래의 신동력 사업으로 재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충남 당진시는 2025년까지 2조4000여억원을 들여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내용의 그린뉴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민자와 국비, 지방비 등 총 2조4199억원을 들여 10개 분야, 87개 과제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일자리 2만4450개를 만들고, 신재생에너지를 연간 1399만9412t 생산한다. 김홍장 당진시장은 “2050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해 기본계획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역설했다.
대전 대덕구는 2030년까지 5400억원을 투입해 대덕그린뉴딜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연축지구 개발 등 5대 분야 40개 사업을 추진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친환경·에너지 스마트그린도시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박정현 대전 대덕구청장은 “공공시설은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을 갖추고 탄소인지예산제를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