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철강상생협력펀드'로 철강 협력업체 유동성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 철강기업을 지원하기위해 조성한 '철강상생협력펀드'가 제 몫을 톡톡히 하고 있다.
철강상생협력펀드는 코로나19로 철강업계 중소기업의 유동성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지난 6월 철강업계가 자발적으로 조성한 대출이자 감면 지원 펀드이다.
철강 관련 중견·중소기업 및 협력기업을 대상으로 긴급경영 자금 및 고용유지 등을 지원한다.
포스코가 714억 원, 현대제철이 286억 원 조성에 참여해 총 1000억 원을 마련했다.
금리는 시중보다 약 1.05%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10억원 내에서 지원하며,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거래하는 협력기업뿐만 아니라 양사와 거래 관계가 없는 기업도 한국철강협회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
포스코는 7월 말 기준 총 48개사에 대한 444억 원을 협업은행인 IBK기업은행에 추천했고, 이를 통해 다수가 심사를 거쳐 대출을 지원받았다.
현재까지 대출을 받은 기업들은 유동성 위기에 숨통을 트는 것은 물론 신용도 등에 따라 연간 평균 1.4%포인트의 대출이자를 감면 받으며 금융비용 절감 효과를 얻고 있다.
현재 IBK기업은행에서 심사 중인 추천기업들도 있어 자금 지원을 받을 중소기업들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 협력기업 관계자는 "기존 사용 중이던 6% 이상 금리의 10억 원 대출을 대환해 연간 약 2,500만 원의 이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며 "국내외 매출이 급감해 이율이 높은 기존 대출이자가 부담되던 중 포스코의 철강상생협력펀드 지원은 마치 굳은 땅에 단비 같았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철강상생협력펀드'와 별도로 '상생협력펀드'를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총 5160억 원의 규모로 운영하는 상생협력펀드 또한 협력기업들의 운영자금 지원을 위한 것으로, 철강상생협력펀드와 중복 활용이 가능하다.
포항=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철강상생협력펀드는 코로나19로 철강업계 중소기업의 유동성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지난 6월 철강업계가 자발적으로 조성한 대출이자 감면 지원 펀드이다.
ADVERTISEMENT
포스코가 714억 원, 현대제철이 286억 원 조성에 참여해 총 1000억 원을 마련했다.
금리는 시중보다 약 1.05%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10억원 내에서 지원하며,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거래하는 협력기업뿐만 아니라 양사와 거래 관계가 없는 기업도 한국철강협회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
ADVERTISEMENT
현재까지 대출을 받은 기업들은 유동성 위기에 숨통을 트는 것은 물론 신용도 등에 따라 연간 평균 1.4%포인트의 대출이자를 감면 받으며 금융비용 절감 효과를 얻고 있다.
현재 IBK기업은행에서 심사 중인 추천기업들도 있어 자금 지원을 받을 중소기업들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ADVERTISEMENT
포스코는 '철강상생협력펀드'와 별도로 '상생협력펀드'를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총 5160억 원의 규모로 운영하는 상생협력펀드 또한 협력기업들의 운영자금 지원을 위한 것으로, 철강상생협력펀드와 중복 활용이 가능하다.
포항=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