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금까지 수차례 주택 공급계획을 발표했다.

이렇게 모아 수도권에 공급하기로 한 주택 물량은 총 127만가구다.

그러면 이 127만 가구는 어디에 공급되는 것이고, 특히 서울에는 어느 곳에 얼마나 보급되는 것일까.

국토교통부는 13일 수도권 127만가구 공급계획의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127만가구는 주택을 새로 지을 땅인 공공택지를 확보해서 공급하는 것이 84만가구, 재건축과 재개발 등 정비사업으로 확보하는 것이 39만가구다.

나머지 4만가구는 소규모 정비사업이나 노후 임대 재건축 등 기타 사업을 통해 공급된다.
127만가구 공급계획중 서울은 36.4만가구…"강남북 골고루 분배"
정비사업 물량은 정부가 도입하기로 한 공공 재건축·재개발을 통해 공급하는 물량에다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올해 이후 입주자 모집이 예정된 기존 민간사업 물량을 더한 것이다.

엄밀히 따지면 127만가구 중 정비사업 물량에는 정부 대책과 관련 없는 민간사업 물량도 포함된 것이다.

127만가구는 올해에는 17만9천가구, 2021년에는 20만1천가구, 2022년엔 19만5천가구 공급될 예정이다.

나머지 65만3천가구는 2023년 이후로 예정돼 있다.

지역별로 시울시에 36만4천가구, 인천에 15만1천가구, 경기도에 75만7천가구가 분배된다.

이중 서울시에 공급되는 36만4천가구는 공공택지를 통해 11만8천가구, 정비사업으로 20만6천가구, 기타 사업으로 4만가구가 공급된다.

서울 공공택지에서 나오는 물량을 지역별로 보면 동남권 4만1천가구, 서남권 1만9천가구, 서북권 2만6천가구, 동북권 2만5천가구 등이다.

서울 강남과 강북으로 쪼개 보면 강남은 6만가구, 강북은 5만1천가구로 골고루 분배됐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동남권은 강동구가 1만4천가구로 가장 많고 강남구 1만3천가구, 송파구 8천가구, 서초구 6천가구 순이다.

구체적으로 고덕 강일 1만2천가구, 개포 구룡마을 2천800가구, 서울 의료원 3천가구, 수서 역세권 2천100가구, 옛 성동구치소 1천300가구, 서초 염곡 1천300가구, 사당역 복합환승센터 1천200가구, 서초 성뒤마을 1천가구, 서울지방조달청 1천가구 등이다.

서남권에선 서남물재생센터 2천400가구, 동작 환경지원센터 1천900가구, 대방동 군부지 1천600가구, 강서 군부지 1천200가구, 영등포 쪽방촌 1천200가구, 마곡 미매각부지 1천200가구, 서부트럭터미널 1천가구 등이 나온다.

서북권에는 용산 정비창 1만가구와 미군 캠프킴 3천100가구, 서부면허시험장 3천500가구, 수색 역세권 2천100가구, 상암DMC 미매각 부지 2천가구, 서울역 북부역세권 500가구, 중구청사 부지 500가구 등이다.
127만가구 공급계획중 서울은 36.4만가구…"강남북 골고루 분배"
동북권의 경우 태릉골프장 1만가구를 비롯해 광운 역세권 2천800가구, 서울 양원 1천400가구, 도봉성대야구장 1천300가구, 북부간선도로 입체화 1천가구, 면목 행정복합타운 1천가구, 중랑 물재생센터 800가구가 확보됐다.

서울 공공택지를 통한 입주자 모집 물량은 올해 1만3천가구를 시작으로 내년 1만가구, 2022년 1만3천가구가 예정돼 있다.

올해는 고덕 강일, 수서역세권. 서울 양원 등 물량을 공급하고 내년에는 성동구치소, 강서 군부지 등이 계획돼 있다.

특히 사전청약제를 태릉골프장 등에 적용해 공급 일정을 앞당길 예정이다.

서울시에서 나오는 정비사업 물량 20만6천가구 중 기존 민간 정비사업에서 나오는 것이 11만6천가구이며 공공 재개발·재건축 물량은 9만가구다.

국토부는 127만가구 외에도 민간이 주택법, 도시개발법 등에 따라 직접 택지를 개발해 공급하는 주택물량도 연평균 4천~5천가구로 예상했다.

도심 내 주택을 공공이 매입해 임대로 공급하는 매입임대도 서울에 최소 연 1만가구 이상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신규택지는 사전청약제 등을 통해 공급 일정을 최대한 앞당기고, 고밀 재건축과 공공재개발 등 정비사업도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사업공모, 선도사례 발굴 등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