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속 '특별지위 박탈위기'에 미래 불안감 커지는 홍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콩보안법 따른 정치적 자유 위축에 美 발표로 경제 우려까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입법 강행에 맞서 미국이 홍콩에 부여했던 특별지위 박탈 카드를 꺼내들면서 홍콩의 앞날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에 따라 홍콩 내 시위활동 등 정치적 자유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으로부터 보장받았던 경제·통상 분야 특별 지위까지 흔들릴 수 있게 되면서 홍콩으로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이 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홍콩에 특별대우를 제공하는 정책적 면제 제거를 위한 절차를 시작하도록 행정부에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홍콩이 더는 우리가 제공한 특별대우를 보장할 정도로 충분히 자치적이지 않다"면서 "중국은 약속한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을 '일국일제(一國一制·한 국가 한 체제)'로 대체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발표는 중국이 지난 28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외국 세력의 홍콩 내정 개입과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리즘 활동 등을 금지·처벌하는 홍콩보안법을 통과시킨 데 대한 보복조치로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즉각적인 특별지위 박탈 등 구체적 조치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발표만으로도 홍콩의 미래에 불확실성과 불안감이 감돌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미국은 1992년 제정한 홍콩정책법을 통해 관세나 투자·무역·비자 발급 등에서 홍콩에 중국 본토와 다른 특별지위를 보장해 왔으며, 홍콩은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금융 허브 등의 경제지위를 구축해왔기 때문이다.
홍콩 경제계는 최근 상황의 후폭풍에 대한 걱정으로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현지매체에 따르면 홍콩 경제계는 무엇보다 홍콩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를 두고 있는 미국 등 서방 기업이 지역 본부를 싱가포르 등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을 우려하고 있다.
홍콩은 아시아에서 다국적 기업의 지역본부가 가장 많은 도시로, 현재 1천541개의 다국적 기업이 홍콩에 지역본부를 두고 있다.
미국이 중국 본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홍콩의 무역 파트너인 만큼, 대미 수출관세 혜택이 사라지면 홍콩의 수출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또 홍콩의 금융 허브 지위를 유지하는 데 핵심인 '달러 페그제'(통화가치를 미국 달러화 대비 일정 범위 내로 묶어두는 제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미국의 제재로 달러 유동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최근 홍콩 외환시장에는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 홍콩 내 이민 서비스 전문업체 등에는 해외 이민 문의가 급증하는 등 홍콩인들의 탈출이 본격화할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한 이민 서비스업체 임원은 "홍콩보안법 제정 소식이 들려오자 하루 만에 대만 이민 문의가 통상적인 수준의 10배로 늘었다"며 "많은 사람이 구체적인 이민 요건 등을 문의했다"고 전했다.
홍콩보안법 제정 소식에 인터넷 포털 등에서는 '이민', '대만', 'VPN' 등의 검색 건수 또한 급증했다.
가상사설망인 VPN은 중국 당국의 검열을 피해 해외 인터넷 등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데,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온라인 검열이 이뤄질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한 것이다.
아이리스 팡 ING은행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홍콩이 국가보안법 제정에 있어 선택의 여지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미국은 홍콩에 벌을 주려고 한다"며 "애꿎은 홍콩이 희생양이 돼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홍콩 행정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은 전날 '홍콩 시민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입장문을 발표하고 홍콩보안법의 홍콩 내 입법 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지해 달라고 호소했지만, 시민들은 홍콩 도심에서 '홍콩 독립' 등의 문구가 적힌 프래카드를 들고 시위에 나서는 등 불안감을 표출했다.
/연합뉴스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에 따라 홍콩 내 시위활동 등 정치적 자유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으로부터 보장받았던 경제·통상 분야 특별 지위까지 흔들릴 수 있게 되면서 홍콩으로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이 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홍콩에 특별대우를 제공하는 정책적 면제 제거를 위한 절차를 시작하도록 행정부에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홍콩이 더는 우리가 제공한 특별대우를 보장할 정도로 충분히 자치적이지 않다"면서 "중국은 약속한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을 '일국일제(一國一制·한 국가 한 체제)'로 대체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발표는 중국이 지난 28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외국 세력의 홍콩 내정 개입과 국가 분열, 국가정권 전복, 테러리즘 활동 등을 금지·처벌하는 홍콩보안법을 통과시킨 데 대한 보복조치로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즉각적인 특별지위 박탈 등 구체적 조치를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발표만으로도 홍콩의 미래에 불확실성과 불안감이 감돌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미국은 1992년 제정한 홍콩정책법을 통해 관세나 투자·무역·비자 발급 등에서 홍콩에 중국 본토와 다른 특별지위를 보장해 왔으며, 홍콩은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금융 허브 등의 경제지위를 구축해왔기 때문이다.
홍콩 경제계는 최근 상황의 후폭풍에 대한 걱정으로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현지매체에 따르면 홍콩 경제계는 무엇보다 홍콩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본부를 두고 있는 미국 등 서방 기업이 지역 본부를 싱가포르 등 다른 곳으로 옮길 것을 우려하고 있다.
홍콩은 아시아에서 다국적 기업의 지역본부가 가장 많은 도시로, 현재 1천541개의 다국적 기업이 홍콩에 지역본부를 두고 있다.
미국이 중국 본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홍콩의 무역 파트너인 만큼, 대미 수출관세 혜택이 사라지면 홍콩의 수출기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또 홍콩의 금융 허브 지위를 유지하는 데 핵심인 '달러 페그제'(통화가치를 미국 달러화 대비 일정 범위 내로 묶어두는 제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미국의 제재로 달러 유동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최근 홍콩 외환시장에는 혼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 홍콩 내 이민 서비스 전문업체 등에는 해외 이민 문의가 급증하는 등 홍콩인들의 탈출이 본격화할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한 이민 서비스업체 임원은 "홍콩보안법 제정 소식이 들려오자 하루 만에 대만 이민 문의가 통상적인 수준의 10배로 늘었다"며 "많은 사람이 구체적인 이민 요건 등을 문의했다"고 전했다.
홍콩보안법 제정 소식에 인터넷 포털 등에서는 '이민', '대만', 'VPN' 등의 검색 건수 또한 급증했다.
가상사설망인 VPN은 중국 당국의 검열을 피해 해외 인터넷 등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데, 홍콩보안법 시행으로 온라인 검열이 이뤄질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한 것이다.
아이리스 팡 ING은행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홍콩이 국가보안법 제정에 있어 선택의 여지가 있었던 것도 아닌데 미국은 홍콩에 벌을 주려고 한다"며 "애꿎은 홍콩이 희생양이 돼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홍콩 행정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은 전날 '홍콩 시민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입장문을 발표하고 홍콩보안법의 홍콩 내 입법 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지지해 달라고 호소했지만, 시민들은 홍콩 도심에서 '홍콩 독립' 등의 문구가 적힌 프래카드를 들고 시위에 나서는 등 불안감을 표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