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9월 349조엔 기록…작년 동기比 2.6%↓

일본 전체 법인기업의 분기 기준 매출이 올 3분기(7~9월)에 3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재무성이 2일 발표한 올 7~9월 법인기업(자본금 1천만엔 이상 약 3만곳 대상) 통계에 따르면 금융·보험을 제외한 전 산업 매출은 349조4천974억엔(약 3천750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6% 줄었다.

일본의 전 산업 분기 매출이 준 것은 2016년 3분기 이후 3년 만이다.

재무성은 올 3분기 매출이 감소한 주된 배경으로 미국과 무역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 경기의 위축과 유가 하락을 꼽았다.

같은 기간의 전 산업 경상이익도 5.3% 줄어든 17조3천232억엔으로 집계돼 2분기째 하락했다.

이에 대해 재무성은 해외시장 동향에 주의가 필요하지만 전 업종의 경상이익 수준이 높다며 일본 경제 전반이 완만하게 회복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日, 금융보험 제외 '전 산업 분기매출' 3년 만에 감소
부문별로는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중국 시장 침체 영향으로 스마트폰용 전자부품 및 반도체 관련 기업의 실적이 악화하면서 제조업 매출이 1.5% 감소했다.

비제조업 매출도 원유가 하락으로 석유제품 판매가격이 내려가면서 3.1% 줄어 3년 만에 감소세를 기록했다.

경상이익은 자동차 관련 연구개발비 상승 등 영향으로 제조업종에서 15.1% 급감했다.

비제조업의 경상이익은 지난 10월의 소비세 인상(8→10%) 직전에 미리 사두려는 수요가 생기면서 0.5% 늘어 두 분기 만에 증가세로 반전했다.

한편 올 3분기 설비 투자는 7.1% 증가한 12조826억엔으로 집계됐다.

일본 전 산업의 분기별 설비 투자액이 늘어난 것은 12분기째다.

자동차와 5세대(5G) 이동통신 시스템 관련 투자가 늘어난 데 힘입어 제조업이 두 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6.4% 늘었다.

비제조업 부문의 설비투자액은 물류시설 증설 등의 영향으로 7.6% 증가했다.

교도통신은 이날 공개된 통계는 오는 9일 발표되는 올 7~9월 국내총생산(GDP) 수정치에 반영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