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량리 일대에서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본격화된다. 청량리동·회기동에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 산업 거점으로 육성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정부가 추진하는 대규모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서울에서 이뤄지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와 함께 부산 영도구 대평동 등 전국 76곳에서 낙후지역 도시 경쟁력을 살리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추진된다.
정부가 서울 청량리·회기동(바이오허브), 부산 영도구 대평동(해양산업 혁신기지) 등 76곳을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사진은 청량리·회기동 ‘홍릉 바이오허브’. /한경DB
정부가 서울 청량리·회기동(바이오허브), 부산 영도구 대평동(해양산업 혁신기지) 등 76곳을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사진은 청량리·회기동 ‘홍릉 바이오허브’. /한경DB
청량리·회기 일대 ‘바이오 클러스터’

정부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올해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76곳을 선정했다. 이번 정부의 주요 국정 과제 중 하나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낙후 도시를 살리는 작업이다. 유형에 따라 중·대규모의 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과 소규모의 일반근린형, 주거정비지원형, 우리동네살리기 등이 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 중 대규모(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는 서울 청량리·회기동(바이오 허브), 부산 영도구 대평동(해양산업 혁신기지), 경남 거제 고현동(일자리 이음센터) 등 15곳이다. 이들 각 사업에는 국비가 최대 250억원 지원된다.

청량리·홍릉 일대 서울 첫 대규모 도시재생
청량리·회기동 사업은 서울에서 처음 시행되는 대규모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다. 새로운 사업은 아니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과학기술계와 함께 홍릉 일대(49만7000㎡)에 바이오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사업이 도시재생 뉴딜 대상으로도 선정됨에 따라 총 사업비 4859억원 가운데 250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바이오 클러스터의 대표적인 시설이 ‘서울 바이오 허브’다. 창업 지원공간, 바이오 연구·실험공간, 글로벌 진출 지원공간, 지역주민 열린공간 등 4개 동으로 구성(4~8층, 연면적 2만4076㎡)된다. 1689억원을 투입해 2021년 완공할 예정이다. 이 밖에 ‘첨단의료기기개발센터’, 테스트베드 공간인 ‘홍릉 바이오헬스센터’, 창업 초기기업 성장과 상용화를 지원하는 ‘홍릉R&D 지원센터’, 주거 지원을 위한 ‘지원전략산업 지원주택’도 들어선다.

부산·거제에도 도시재생…총 76곳 선정

부산 영도구 대평동 사업(총 면적 48만㎡, 사업비 1966억원)도 경제기반형이다. 목표는 기존 선박 수리·건조 산업을 고부가가치 선박 개조·제조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부산시가 한국해양과학기술원·부산도시공사 등과 함께 추진하며 국비 250억원이 투입된다. 조선산업 쇠퇴로 어려움을 겪는 경남 거제 고현동에는 취업·창업, 일자리 안내 등의 서비스를 한곳에서 받을 수 있는 ‘도시재생 복합기능 이음센터’ 등이 들어선다.

19만3000㎡ 규모의 중심시가지형 뉴딜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1250억원(국비 150억원)이다. 정부는 경남 창원시 소계동을 비롯해 소규모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 61곳도 선정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낡은 저층 주거지 정비와 주차장·도서관·돌봄시설 등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이 진행된다. 국비 지원 규모는 뉴딜사업 형태에 따라 50억~100억원이다.

앞으로 국토부는 ‘도시재생 뉴딜 성과관리지원 컨설팅단’을 구성해 뉴딜사업 지역에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성과도 관리한다. 뉴딜사업이 부동산 투기 수단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한국감정원과 함께 선정 지역과 인근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감시)할 방침이다. 김이탁 국토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지방자치단체가 부동산 시장 관리에 소홀하거나 부동산 시장 과열이 우려되면 사업을 중단하거나 연기하고 다음해 사업 선정 과정에서도 불이익을 줄 것”이라며 “뉴딜사업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최진석/양길성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