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초유의 파업 사태…환자들 병원 이전 '대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노동조합이 결성된 국립암센터가 임금협상 조정에 실패하면서 2001년 문을 연 이래 처음 파업 사태를 맞았다. 암 환자 치료에 꼭 필요한 항암주사실, 방사선치료실 등이 필수인력 유지범위에서 제외되면서 상당수 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등 큰 혼란을 빚었다.
국립암센터, 개원 이래 첫 파업
국립암센터 노조는 지난 5일 밤 노사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 6일 오전 6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경기도 고양 국립암센터 본관 1층 로비에서 노조원 500여명이 참가해 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전체 직원 2800여명 중 노조 조합원은 1000여명이다. 간호직은 절반 정도가 노조에 가입했다. 병원 측은 전체 노조 조합원 중 절반 이상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날 파업으로 입원 환자 540여명(전체 병상 560개) 중 350여명이 퇴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겼다. 입원 환자는 140명이내로 줄어들 것으로 병원 측은 내다봤다. 이날 암센터를 찾은 외래 환자는 790여명으로, 금요일 평균 외래 환자(1200여명)의 65% 수준으로 줄었다. 국립암센터 관계자는 “그나마 환자가 적은 요일이라 혼란이 덜하다”며 “월요일 평균 외래 환자는 1500여명으로, 환자가 몰릴 수 있어 혼란이 더 커지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암 환자들 “진료 정상화 해달라”
의료기관은 대부분 파업기간에도 필수인력을 유지해야 한다. 환자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파업했지만 환자급식 등에 영향을 받았을 뿐 진료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국립암센터는 사정이 다르다. 노조가 다른 병원보다 늦게 결성돼 새로운 필수유지업무 범위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다보니 암 환자를 주기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항암주사실, 방사선치료실 등이 필수범위에서 제외됐다. 파업기간 인력을 모두 유지해야 하는 곳은 중환자실과 응급실 뿐이다.
암 환자가 주로 찾는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환자 보호자들의 걱정스런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파업철회 요청 글에는 하루만에 1000명 넘는 사람이 동의를 표했다. 3기 유방암 환자 보호자라고 밝힌 이 청원인은 “6일 새벽 4시40분 파업시작한다는 문자와 함께 치료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매일 방사선 치료를 받아야 하는 스케줄이었고 3주에 한번 맞는 표적치료제도 파업으로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번 파업은 임금협상안의 간극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올해 6월 협상을 시작한 노사 양측은 11차례 단체교섭과 두 차례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조정과정을 거쳤다. 협상 초기 6%대 임금인상을 요구했던 노조 측은 “기본급 1.8% 인상에 시간외수당과 위험 수당을 별도로 책정하라”는 최후 통첩을 했다. 이를 모두 반영하면 3.3% 정도 임금이 오른다.
하지만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 지침에 따라 1.8%를 넘어설 수 없다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이은숙 국립암센터 원장은 “파업에 참여한 직원이 진료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대한 만나 설득하고 있다”며 “추석연휴 진료 공백을 고려해서도 다음주 초에는 사태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지현/김태완 기자 bluesky@hankyung.com
국립암센터, 개원 이래 첫 파업
국립암센터 노조는 지난 5일 밤 노사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 6일 오전 6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경기도 고양 국립암센터 본관 1층 로비에서 노조원 500여명이 참가해 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전체 직원 2800여명 중 노조 조합원은 1000여명이다. 간호직은 절반 정도가 노조에 가입했다. 병원 측은 전체 노조 조합원 중 절반 이상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날 파업으로 입원 환자 540여명(전체 병상 560개) 중 350여명이 퇴원하거나 다른 병원으로 옮겼다. 입원 환자는 140명이내로 줄어들 것으로 병원 측은 내다봤다. 이날 암센터를 찾은 외래 환자는 790여명으로, 금요일 평균 외래 환자(1200여명)의 65% 수준으로 줄었다. 국립암센터 관계자는 “그나마 환자가 적은 요일이라 혼란이 덜하다”며 “월요일 평균 외래 환자는 1500여명으로, 환자가 몰릴 수 있어 혼란이 더 커지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암 환자들 “진료 정상화 해달라”
의료기관은 대부분 파업기간에도 필수인력을 유지해야 한다. 환자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파업했지만 환자급식 등에 영향을 받았을 뿐 진료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국립암센터는 사정이 다르다. 노조가 다른 병원보다 늦게 결성돼 새로운 필수유지업무 범위 가이드라인의 적용을 받다보니 암 환자를 주기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항암주사실, 방사선치료실 등이 필수범위에서 제외됐다. 파업기간 인력을 모두 유지해야 하는 곳은 중환자실과 응급실 뿐이다.
암 환자가 주로 찾는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환자 보호자들의 걱정스런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파업철회 요청 글에는 하루만에 1000명 넘는 사람이 동의를 표했다. 3기 유방암 환자 보호자라고 밝힌 이 청원인은 “6일 새벽 4시40분 파업시작한다는 문자와 함께 치료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매일 방사선 치료를 받아야 하는 스케줄이었고 3주에 한번 맞는 표적치료제도 파업으로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번 파업은 임금협상안의 간극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올해 6월 협상을 시작한 노사 양측은 11차례 단체교섭과 두 차례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조정과정을 거쳤다. 협상 초기 6%대 임금인상을 요구했던 노조 측은 “기본급 1.8% 인상에 시간외수당과 위험 수당을 별도로 책정하라”는 최후 통첩을 했다. 이를 모두 반영하면 3.3% 정도 임금이 오른다.
하지만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 지침에 따라 1.8%를 넘어설 수 없다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 이은숙 국립암센터 원장은 “파업에 참여한 직원이 진료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최대한 만나 설득하고 있다”며 “추석연휴 진료 공백을 고려해서도 다음주 초에는 사태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지현/김태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