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하던 수도권 새 교통망 사업이 뒤늦게 속도를 내고 있다. 이달 들어 위례신도시에선 위례신사선(위례신도시~신사역)이 사업자 선정에 나섰다. 양주 옥정신도시 첫 지하철인 도봉산옥정 광역철도는 오는 12월 첫 삽을 뜬다. 청라연장선 신안선 등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사업 기간에 부동산시장의 부침이 여러 차례 생기는 만큼 긴 호흡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 위례신도시 ‘위례트램’ 사업이 10년 만에 기본계획 수립에 나섰다. 트램이 들어설 위례신도시 트랜짓몰 . /한경DB
경기 위례신도시 ‘위례트램’ 사업이 10년 만에 기본계획 수립에 나섰다. 트램이 들어설 위례신도시 트랜짓몰 . /한경DB
사업자 선정·착공 잇따라

입주 6년 차인 위례신도시에선 계획된 4개 철도사업 중 3개가 올 들어 속도를 내고 있다. 위례트램은 지난 2일 기본계획 수립에 나섰다. 지난해 7월 민간사업에서 공공사업으로 전환된 지 1년 만이다. 이 노선은 5호선 마천역과 8호선 복정역 사이 5.4㎞ 구간을 잇는다. 2008년 정부와 서울시가 위례신도시 신교통 수단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사업성이 부족한 탓에 10년째 기획재정부 민자적격성 조사에서 고배를 마셨다. 서울시는 10개월간 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2021년 초 착공할 계획이다. 준공은 2023년 말 목표다.

위례신사선은 12일 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고를 냈다. 위례신도시와 신사동을 잇는 경전철이다. 강남 주요 업무지구를 지나 알짜노선으로 꼽힌다. 이 노선도 지난해까지 민자적격성 문턱을 넘지 못했다. 낮은 사업성이 발목을 잡았다. 서울시는 올해 말까지 사업자를 선정하고 2022년 첫 삽을 뜰 계획이다. 개통 뒤 위례신도시에서 신사역까지 이동시간은 1시간에서 20분 안팎으로 줄어든다.

8호선 복정역과 산성역 사이에 역을 새로 짓는 8호선 추가역 사업은 토지 보상이 끝나는 대로 12월 착공할 방침이다. 개통 예정 시기는 2021년 하반기다. 위례과천선(위례신도시~경기 과천)은 세부 노선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옥정신도시에서는 도봉산옥정 광역철도가 12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지하철 7호선을 옥정신도시까지 잇는 15.3㎞ 노선이다. 옥정신도시에 들어서는 첫 전철이다. 옥정은 그동안 2기 신도시 중에서도 교통망이 열악한 곳으로 꼽혔다. 전철은커녕 여의도 등 주요 업무지구로 향하는 광역버스 노선도 없다. 경기도는 도봉산옥정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23만 명가량이 이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노선을 포천시까지 추가로 연결하는 도봉산 옥정~포천선 사업은 지난 1월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됐다.
위례신사선·옥정선·신안산선 등 수도권 철도망 사업 속도 낸다
개통까지는 7~8년

수도권 외곽지역에 예정된 철도사업도 조금씩 속도를 내고 있다. 7호선 청라연장선은 16일 국토교통부에서 기본계획 승인을 받았다. 이 노선은 서울 7호선 석남역(예정)과 청라국제도시 사이 10.7㎞를 잇는 전철이다. 인천시는 9월 기본·실시설계를 한 뒤 2021년 착공할 방침이다. 개통 뒤 청라에서 7호선 서울 구로까지 이동시간이 78분에서 42분으로 줄어든다. 강남까지는 환승 없이 한 번에 간다.

안산~시흥~여의도를 잇는 신안산선은 사업 추진 21년 만에 다음달 착공한다. 사업비 3조3895억원을 투입해 16개 정거장을 짓는다. 개통 뒤 안산 시흥에서 여의도까지 이동 시간이 1시간30분에서 30분대로 단축된다. 향후 안산선, 수인선, 소사~원시선, 인천발 KTX(고속철도) 등과 연계돼 수도권 서남부 광역교통망의 한 축이 될 전망이다.

다만 개통까지 최소 7년 이상 남은 만큼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일반적인 철도 사업은 공사 기간이 60개월이다. 이마저도 예산 부족, 돌발변수 탓에 지연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지난해 개통한 9호선 3단계 구간(서울 잠실운동장~보훈병원)은 싱크홀과 예산 부족 탓에 8년 동안 공사했다. 2014년 착공한 7호선 석남연장(부평구청~석남) 사업도 개통이 2018년에서 2021년으로 늦춰졌다. 사업비 조정, 시공사 파산 등이 이유다.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는 “교통망 개통 시점이 계획보다 수년 이상 늦춰지는 건 사업비 부족과 협의 지연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