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장자제 텐먼산 케이블카.
중국 장자제 텐먼산 케이블카.
‘아가 아가 우지마라, 비야 비야 오지 마라, 저기 가서 노자….’ 1930년대 암울하던 일제치하에서 우리 국민을 일깨운 것은 브나로드운동이었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주도한 이 계몽운동으로 비로소 한글의 대량 보급이 가능해졌다. 당시 문자보급 교재로 쓰인 <한글공부>(1933년 동아일보사)를 보면 우리말의 변천 과정에서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 많다. 위의 구절도 그런 사례 중 하나다.

‘머지않아’는 한자어 ‘불원간’과 같은 뜻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우선 눈에 띄는 게 ‘우지마라, 오지 마라, 노자’ 같은 말이다. 각각 ‘울다, 말다, 놀다’가 활용한 모습이다. 모두 ‘ㄹ탈락 용언’인데 현행 맞춤법에 따른 표기와는 같은 것도 있고 다른 것도 있다. ㄹ탈락 용언은 활용할 때 어미 ‘-네, -세, -오, -ㅂ니다’ 앞에서 ㄹ받침이 탈락하는 게 원칙이다(한글맞춤법 제18항). 뒤집어 말하면 ‘울다’ ‘놀다’는 어미 ‘-지/-자’ 앞에서 어간이 바뀌지 않는다는 뜻이다. ‘울지’ ‘놀자’가 현행 표기 규범인데, 당시만 해도 이를 ‘우지’ ‘노자’로 적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역설적으로 예전부터 ‘ㄹ받침 용언’이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ㄹ받침이 탈락하기도 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널리 알려진 대중가요 “홍도야 우지마라~”의 표기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까닭이기도 하다. 하지만 규범상으론 ‘울지 마라’가 바른 표기다.

이런 ㄹ탈락 현상이 예외적으로 굳어져 단어로 인정된 게 있다. ‘마지못하다(←말+지+못하다)’ ‘마다하다(←말+다+하다)’ ‘머지않다(←멀+지+않다)’가 그런 사례다. 특히 ‘머지않다’(시간적으로 멀지 않다는 뜻)는 ‘멀지 않다’(공간적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지 않다는 뜻)와 구별되는 말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최경봉 원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머지않다’가 분화돼 굳어진 까닭을 한자어 ‘불원간(不遠間)’에서 찾았다. 즉 ‘(시간적으로) 멀지 않아’란 뜻인 ‘불원간’ 자리에 ‘멀지 않아’가 대신 들어가 쓰이다가 ㄹ받침이 탈락하면서 아예 한 단어로 인식됐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말아라/마라’는 직접명령, ‘말라’는 간접명령형

‘우지마라’ ‘오지 마라’에서 보이는 ‘마라’는 동사 ‘말다’가 활용한 꼴이다. 이 말은 명령형으로 쓸 때 ‘마라/말아라/말라’가 함께 쓰이기 때문에 헷갈리기 십상이다. 예전에는 ‘말아라’는 비표준형이었다. ‘말아라’는 ‘말다’에 명령형 종결어미 ‘-아라(어라)’가 붙은 형태다. 본래 용언의 어간 끝 받침 ‘ㄹ’은 어미 ‘-아라(어라)’ 앞에서 줄지 않는다. ‘울어라, 말아라, 놀아라’ 식으로 활용한다. 그런데 이 ‘말다’란 단어는 관행적으로 ‘ㄹ’이 줄어진 형태로 쓰였다. “~하지 마”가 전형적인 용례다. 이는 ‘말아라→마라’가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전에는 “늦지 말아라”라고 하면 틀리고 “늦지 마라”라고 해야 맞는 말이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사람들이 ‘말아라’도 워낙 많이 써서 2015년 12월 국립국어원은 이 역시 표준형으로 인정했다. 지금은 ‘말아라’와 ‘마라’가 모두 맞는 표기다.

그러면 ‘말아라/마라’와 ‘말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말아라/마라’는 직접명령형이고, ‘말라’는 간접명령형이다. ‘말라’는 신문 등에서 불특정 다수의 독자를 상대로 쓸 때, 또는 시험문제 등 간접적인 명령형을 취할 때 쓰는 ‘하라’체다. 이는 직접명령형인 ‘해라’체와 달리 어간에 ‘-라’가 바로 붙는다. 가령 ‘보고서를 만들라/분산 투자하라/전문가가 되라’처럼 쓰는 특수한 명령꼴이다. 직접명령형인 ‘만들어라/투자해라/돼라(←되어라)’와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