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TV] 부동산값 GTX 길 따라 재편된다…수혜지는 바로 여기
▶최진석 기자
안녕하세요. 한국경제신문에서 건설부동산부 부동산 취재를 맡고 있는 최진석입니다. 반갑습니다. 교통망 투자 1인자를 모셔서 같이 얘기를 나눠볼 건데요. 수혜지역과 황금노선에 대한 설명이 나오니까 꼭 끝까지 들으시고 좋은 결실 맺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철도 전문가 필명 ‘아이고빡시다’로 더 유명하신 분입니다. 황성환 강사님 모시겠습니다.
▷아이고빡시다
정식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교통망을 분석하면서 실전 투자를 같이 하고 있는, 필명 아이고빡시다로 활동하고있는 황성환이라고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집코노미TV] 부동산값 GTX 길 따라 재편된다…수혜지는 바로 여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904/02.19414634.1.jpg)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란 무엇이고 왜 눈여겨봐야 되나요?
▷아이고빡시다
외곽에 있는 사람들을 충분히 중심으로 끌어올 수 있는 교통대책을 하나 마련해야겠다고 발표한 게 바로 GTX입니다.
![[집코노미TV] 부동산값 GTX 길 따라 재편된다…수혜지는 바로 여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904/01.19423984.1.jpg)
광역철도인 GTX를 새로 깔아서 보다 멀리 있어도 보다 빨리 중심가로 출퇴근 할 수 있게 하겠다는 거죠? 이게 속도가 어느 정도 돼요?
▷아이고빡시다
일단 최고 속도는 시속 180km 정도입니다. A 노선 같은 경우에는 평균 110~116km. 9호선 급행의 평균 속도가 46km 정도 됩니다. 거기에 비해선 거의 3배 정도 빠른 이동 속도를 보장 하기 때문에 혁신적인 교통수단이다, 이렇게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최진석 기자
A노선과 B, C노선이 있는 거 같은데 이 노선별로 소개를 해주세요.
![[집코노미TV] 부동산값 GTX 길 따라 재편된다…수혜지는 바로 여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904/01.19423989.1.jpg)
일단 지금 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여기 A노선이 지금 진행이 되고 있는데, A노선 같은 경우에는 지금 삼성에서 동탄까지는 재정사업으로 국비 100%로 진행이 되고 있고요. 그리고 삼성에서 운정까지는 민자사업으로 현재 진행이 되고 있고 민자사업자로는 현재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진행하고 있어요.
▶최진석 기자
그 다음 B노선이 또 있어요. 저 파란색이죠?
▷아이고빡시다
B노선은 파란색 노선입니다. 이번에 예비타당성 면제도 좀 기대를 했었는데 그건 무산이 됐고요. 예비타당성 조사를 올해 마무리를 짓겠다고 지금 국토교통부에서 보도자료를 내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
▶최진석 기자
각각 사업 진척 현황이 어떻게 되나요?
▷아이고빡시다
네, A노선 같은 경우에는 아까 말씀 드렸듯이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민자사업자로 참여를 해서 지난해 12월 27일 일산 킨텍스에서 착공식을 진행한 그런 상황입니다. 지질조사도 하고 설계도 계속 하면서 곧 본격적인 착공을 하지 않을까 해요.
▶최진석 기자
B는요?
![[집코노미TV] 부동산값 GTX 길 따라 재편된다…수혜지는 바로 여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904/01.19423985.1.jpg)
B노선 같은 경우에는 아직까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하지 못한 노선이기 때문에 시간은 조금 많이 소요될 것 같은데요. 얼마 전에 발표된 3기 신도시 중에서 남양주 왕숙신도시 교통 대책으로 발표가 된 노선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행 사항들을 좀 기대해봐도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진석 기자
B는 아직 예타를 통과하지 못했으니까 B는 잠시 제쳐두고, A와 C를 좀 봐야겠네요. 알겠습니다. 그럼 일단 노선별로 여기서부터 이제 나오는겁니다. 노선별로 수혜지역을 살펴보겠습니다. 이제 옥석을 한 번 가려보자는 거죠. 우선 GTX-A의 대표 수혜지역은 어디가 될까요?
▷아이고빡시다
일단 대표 수혜지역을 보시면 제가 이렇게 네모칸을 쳐놨는데 킨텍스와 대곡, 서울역, 삼성, 수서, 성남, 동탄 이렇게 써놨어요. 너무 비싼 곳들은 이미 가치를 지금 접근하기에는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저 같은 경우는 동탄과 킨텍스, 대곡 정도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최진석 기자
그러면 GTX-C의 대표 수혜지역은요?
▷아이고빡시다
네, C 노선의 대표 수혜지역을 보시면 일단 의정부부터 시작을 해서, 서울시에서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창동역과 상계역을 묶어서 창동이라고 합니다. 이 창동역과 광운대, 청량리, 금정, 수원 이렇게 살펴보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GTX만을 위해서 좋아지는 것들이 아니고 해당 지역들이 이미 서울시에서 굉장히 중점적으로 다루고있는 사업장이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있습니다.
![[집코노미TV] 부동산값 GTX 길 따라 재편된다…수혜지는 바로 여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904/01.19423990.1.jpg)
그렇구나. 조금 구체적으로 들어가서 한 번 볼까요. 킨텍스, 대곡 이렇게 써있는데 이곳을 지금 일산에서 거주하시는 분들도 계실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일산이 작년까지 부동산 급등의 영향을 많이 받은 곳은 또 아니잖아요.
▷아이고빡시다
소외지역이었죠.
▶최진석 기자
이곳을 수혜지역으로 거론하신 배경이 있으실 텐데 설명 해주세요.
▷아이고빡시다
GTX까지 자리를 잡게 되면 일산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강남 접근성을 어느 정도 해결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제는 조금씩 살펴봐야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진석 기자
그럼 GTX가 개통되고 나면 이곳 역에서 삼성역까지 몇분이면 갈 수 있어요?
▷아이고빡시다
실제 이동 시간은 이제 18분~20분 정도 바라보고있는데, 오르락 내리락 하는 시간이 6~7분씩 든다고 가정하고 15분을 더하면 한 33분~35분정도면 충분히 도달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최진석 기자
진짜 빠르네요.
▷아이고빡시다
일단 굉장히 빨라요. 요금 같은 경우에도 1만원 이상일 것이다, 이런 얘기가 있는데 그 정도로 되진 않을 것 같아요. 3500원~4000원 사이에 조정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M버스가 지금 현재 2800원 정도 되거든요. 1000원 정도 더 소비를 하면 되는 거죠.
▶최진석 기자
킨텍스와 대곡에 일자리도 많이 있어요?
▷아이고빡시다
지금은 아무 것도 없는데요. 일단 앞으로 이쪽에는 단기간에 일자리가 많이 들어올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최진석 기자
대곡은 어때요? 지금은 아무 것도 없잖아요.
▷아이고빡시다
대곡 같은 경우에는 복합환승센터가 자리를 잡을 텐데, 복합환승센터의 개념을 잠깐 말씀드리면 그냥 교통만을 위한 시설이 아니고 주거, 업무, 상업지역이 한꺼번에 들어오는 그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최진석 기자
그럼 대곡에 투자하고 싶으면 어떻 게 하는 거예요?
![[집코노미TV] 부동산값 GTX 길 따라 재편된다…수혜지는 바로 여기](https://img.hankyung.com/photo/201904/01.19423991.1.jpg)
일단 대곡 같은 경우에는 아직 논밭, 흙먼지 날리는 그런 곳들밖에 없으니까 바로 옆에 있는 능곡 재개발을 보시거나, 아니면 경의중앙선이나 3호선을 따라 다니는 일산 인근의 역세권을 살펴보시면 조금씩 리스크를 줄이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진석 기자
한경머니로드쇼 들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집코노미 토크쇼였습니다.
기획 집코노미TV 총괄 조성근 건설부동산부장
진행 최진석 기자 촬영 한성구 인턴기자
편집 민경진 기자·이시은 인턴기자
제작 한국경제신문·한경닷컴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