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로제 시행으로 건설 현장의 공사비 증가 및 건설사의 경영 악화가 우려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설사와 전문가들은 법정근로시간 단축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유예 기간 동안 정부와 기업, 학계가 보완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근로시간 단축을 적용받는 30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9월 한 달간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법정근로시간 단축 이행 이후 건설업체의 대응 동향 및 향후 과제’ 연구보고서를 14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 응답자들은 ‘근로조건 변경에 대한 발주기관의 무관심’(50.0%, 이하 본사 응답 기준)과 ‘공사비 증가로 인한 경영 상태 악화’(42.9%)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어 ‘현장 관리의 어려움 증대’(28.6%)와 ‘근로시간 차이로 원도급사와 하도급사 간 업무 연계 불편’(21.4%), ‘계절적·일시적 인력 수요 대응 불가’(21.4%) 순이었다.

‘현행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운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다는 것과 초과 근로시간 운용을 월 단위가 아니라 주 단위로 제한하고 있는 것을 지적한 응답자가 많았다. 건설사가 추진해야 할 생산성 향상 방안으로는 ‘공사 수행 계획의 철저한 수립 및 공정관리’와 ‘건설사의 근로 방식 개혁’ 등이 있었다.

최은정 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의 적정 공사 기간 및 공사비 산정을 위한 세부 지침 마련과 건설업체 차원에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