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변성현 기자)
(사진=변성현 기자)
퍼블릭 블록체인이 아직까지는 네트워크 안전성, 툴 부족 등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해시드 온톨로지 이더리움재단 에이치닥(HDAC) 등 관계자들은 24일 서대문구 그랜드힐튼 서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에서 현재 블록체인이 가진 한계와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균태 해시드 CTO는 "퍼블릭 블록체인은 모든 노드가 경쟁적으로 해답을 찾는 구조이다 보니 같은 연산들이 동시 노드를 수행해 많은 비효율이 발생한다"며 "랜덤 넘버 공정성 시비가 항상 존재하고 스마트 콘트랙트 기술이 아직 성숙 못한 것도 문제"라고 말했다.

김 CTO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리콘밸리 태생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디피니티, 알고랜드 프로젝트는 랜덤넘버 공평 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중이고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타크 웨어 프로젝트도 있다"며 "아직 우리나라는 전세계가 열광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나오지 않았지만 향후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이 부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니엘 웬 온톨로지 글로벌 사업개발(BD) 디렉터는 네트워크 안전성이나 툴 부족 등의 문제로 블록체인 세계와 실물 세계가 단절돼 있다고 언급했다.

웬 디렉터는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인 온톨로지는 블록체인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됐다"며 "단순 기술 플랫폼이 아닌 모든 데이터 소스, 사람을 연결하는 플랫폼 개발해서 코더들이 자신들의 스마트 계약을 판매할 수 있도록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번드 랩 전 이더리움재단 고문(어드바이저)는 블록체인이 아직 초기 단계라고 언급하면서 기술뿐 아니라 문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블록체인의 실 사례를 보기 힘든 이유는 중앙화 기업이 탈 중앙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라며 "이더리움은 누구나 자신의 블록체인을 구축할 수 있고 컨센서스, 매커니즘을 정해 확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상욱 에이치닥 상무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인 투자자든 기관투자자든 자금이 유입될 때 이러한 기술은 빠르게 발전할 수밖에 없다며 "아무리 좋은 이론, 기술이어도 사업적 모델이 없고 수익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큰 의미가 없다"고 덧붙였다.

☞ 10월23~24일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가 열립니다. 국내외 정부 및 기업, 관련 업계 주요인사들이 참여해 '블록체인 프론티어 코리아' 비전을 전 세계에 공유합니다. 클릭하면 공식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