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드라마 ‘겨울연가’ 히트 이후 한국 엔터테인먼트산업을 주목해온 일본 언론들은 최근 방탄소년단(BTS)과 트와이스 등 한국 연예인의 세계적 인기를 ‘3차 한류’로 지칭한다. ‘겨울연가’의 인기로 시작된 ‘1차 한류’가 일본 등 아시아에 한정돼 있었다면, 2010년대 초반 소녀시대와 싸이의 등장으로 시작된 ‘2차 한류’는 남미와 북미지역으로 무대를 넓혔다. 당시 소녀시대 소속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코스닥시장에서 4년간 100배가량 올랐다.

작년 하반기 시작된 ‘3차 한류’는 과거보다 훨씬 강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넷플릭스,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스트리밍(실시간 재생) 업체들이 기존 방송시장을 대체하면서 콘텐츠산업이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새 판’이 깔리고 방탄소년단이 성공 가능성을 입증하면서 “한국 엔터테인먼트 강소기업들이 날개를 달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넷플릭스·유튜브 타고 넓어지는 韓流 영토… 한국 엔터기업 '상한가'
‘미디어 4차 산업혁명’ 덕 본다

올 들어 코스닥시장에서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 엔터주 중 ‘넷플릭스 효과’를 가장 많이 보고 있는 종목으론 스튜디오드래곤이 꼽힌다. 노희경 김은숙 등 한국을 대표하는 드라마 작가 71명과 계약을 맺은 스튜디오드래곤은 ‘도깨비’ ‘나의 아저씨’ 등을 히트시킨 콘텐츠 제작사다.

1일 코스닥시장에서 스튜디오드래곤은 2700원(2.51%) 오른 11만400원으로 장을 마쳐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올 들어 상승률은 69.84%에 달한다. 스튜디오드래곤은 넷플릭스에 드라마 등 다양한 콘텐츠를 공급하며 시장을 세계로 확장하고 있다. 스튜디오드래곤이 제작해 올해 초 방영한 드라마 ‘화유기’는 회당 50만달러(약 5억4000만원)에 팔렸다.

넷플릭스와 경쟁하는 구글의 계열사 유튜브는 유료 서비스인 ‘유튜브 레드’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방탄소년단을 내세웠다. 지난 3월부터 유료 가입자에 한해 공개한 다큐멘터리 ‘방탄소년단: 번 더 스테이지’는 1회 1200만 뷰가 넘는 조회 수를 기록했다.

이 같은 글로벌 스트리밍 업체들의 콘텐츠 확보 경쟁에 힘입어 국내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의 ‘몸값’이 치솟고 있다. 넷플릭스는 올해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를 위해 작년보다 33% 많은 80억달러 이상을 지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마존은 45억달러, 애플도 10억달러 내외를 쓸 계획이다.

한국 엔터업계를 이끄는 방시혁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대표, 정욱 JYP엔터테인먼트 대표, 김영민 에스엠엔터테인먼트 대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디어산업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스터디 모임까지 조직했다. 1990년대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유튜브 음원 공개를 거의 하지 않고 자국 내 소비에 머물러 있는 일본의 J팝과는 다른 행보라는 평가다.

이익 증가 등 기업 체질 개선

넷플릭스·유튜브 타고 넓어지는 韓流 영토… 한국 엔터기업 '상한가'
최근 엔터주 강세는 개인투자자 수급에 좌우되던 과거와 달리 탄탄한 실적이 뒷받침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 올해 1분기 에스엠엔터와 JYP엔터의 영업이익은 각각 103억원, 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배, 2.1배 증가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에스엠엔터, JYP엔터, 빅히트엔터,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4대 연예기획사는 올해 작년보다 두 배 가까이 많은 총 16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전망이다.

성장 기대에 실적까지 개선되면서 외국인투자자가 한국 엔터기업에 기업탐방과 투자설명회(NDR)를 적극 요청하고 있다. 한국 엔터주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얻으려는 목적에서다. 트와이스의 소속사 JYP엔터는 지난달 일본 도쿄에서 다이이치생명 등 11개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열었다. 시가총액 1조원 미만의 코스닥 상장사에 외국인투자자가 먼저 관심을 보이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증권업계의 설명이다.

밸류에이션·계약 기간 살펴야

일각에서는 올 들어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 일부 종목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부담스러운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올해 예상 실적 기준 스튜디오드래곤의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주당순이익)은 47.64배다. 에스엠엔터, JYP엔터, 와이지엔터의 PER도 20배 이상이다. 사업구조가 달라 나란히 비교하긴 어렵지만 디즈니(14.19배), 유니버설(18.59배) 등 글로벌 콘텐츠 회사들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이미 많이 올랐다는 시각도 있다.

엔터주 투자의 또 다른 투자 리스크(위험) 요인은 소속 연예인들의 계약 갱신이다. 통상 가수의 계약기간은 7년인데, 신인 때는 소속사와 가수가 7 대 3 비율로 수익을 나누지만 재계약 이후에는 3 대 7로 바뀌는 게 일반적이다. 방탄소년단은 2020년, 트와이스는 2022년 지금의 계약이 종료된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올해 엔터주 전망은 대체로 밝은 편”이라며 “개별 종목 투자가 부담스럽다면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여러 엔터주에 분산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최만수/노유정 기자 beb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