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법 위에 있는 靑 국민청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미현 정치부 기자 mwise@hankyung.com
![[취재수첩] 법 위에 있는 靑 국민청원](https://img.hankyung.com/photo/201805/07.14422006.1.jpg)
단순히 내용만 전달했다는 게 청와대 주장이지만,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헌법 106조는 ‘법관은 탄핵 또는 금고 이상 형의 선고에 의하지 않고는 파면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법관이 법과 양심에 따라 판결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다. 외부 권력이나 여론에 의해 법관 자리가 위태롭다면 법치주의의 근간이 흔들린다.
ADVERTISEMENT
이런 논란을 막기 위해 청와대의 국민청원 시스템을 손볼 필요가 있다. 청와대가 답변할 수 없는 사안은 청원을 받지 않거나 청원을 처리할 수 있는 기관으로 청원을 유도하면 된다. 미국 백악관은 2014년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관련 청원에 “연방정부가 관여할 사안이 아니다”며 “캘리포니아 주정부에 문의하라”고 답했다.
근본적으로는 청와대 청원을 실명제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청원법 5조4항은 ‘청원인의 성명·주소 등이 불분명하거나 청원 내용이 불명확한 때’ 청원을 수리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청원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다. 청와대 국민청원만 이 같은 법 테두리에서 벗어나 있는 것은 문제다. 국민청원이 본래 취지에 맞게 이뤄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할 때가 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