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좀처럼 줄지 않으면서 불황이 지속되자 임대로 전환, 출구를 모색하는 건설사들이 늘고 있다. 공급 과잉 속에 분양이 녹록하지 않은 부동산시장 상황을 감안, 건설사들이 일반 분양을 포기하고 입주자 모집이 쉬운 임대 쪽으로 눈길을 돌리는 것이다.
분양 시장에서 관심을 끌지 못했던 아파트가 임대 전환된 후 계약자가 몰리는 등 임대 전환이 미분양에 시달리는 건설사들의 탈출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주시에 따르면 오송 동아 라이크 텐과 대성 베르힐이 지난 9일부터 총 2천477가구의 임대 아파트 공급에 나섰다.
동아건설은 77㎡(전용면적 기준) 190가구와 84㎡ 780가구 등 총 970가구를 공급하는데, 분양사 측은 "임대 전환 후 50%가량 지정 계약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불과 35가구만 분양돼 미분양 사태를 걱정해야 했던 작년 9월과 비교하면 동아건설로서는 임대전환이 탈출구였던 셈이다.
대성건설도 지난 9일부터 청주 동남택지개발지구 B4·B6블록에 건설할 임대 아파트인 대성베르힐 1천507가구 공급에 나섰다.
이 아파트가 들어설 부지는 분양 택지이지만 대성건설은 청주시의 임대 전환 요청을 수용, 임대아파트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대성베르힐 역시 지난 9일 이후 40%가량 계약된 것으로 전해졌다.
동남지구 내 신규 아파트 2천508가구를 분양할 예정인 우미건설도 전체 물량의 48.5%인 1천217가구를 임대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지구에 900여 가구가 입주할 수 있는 아파트를 분양하려던 또 다른 건설사도 임대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청주시도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일반 분양보다는 민간 임대로 전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청주의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달 기준 2천10가구에 달한다.
전달보다 3가구 줄어드는 데 그칠 정도로 미분양 문제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지난 1월 2가구에 불가했으나 2월에는 28가구로 늘었다.
이런 탓에 청주시는 지난달 말 '미분양 관리 지역'으로 또다시 지정됐다.
청주가 미분양 관리 지역으로 처음 지정된 것은 2016년 10월인데, 1년 6개월째 관리를 받고 있는 것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올해 계획된 아파트 임대·분양 물량이 1만920가구에 달한다"며 "미분양 규모를 줄이기 위해 임대 전환을 사업 시행자들에게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사들도 임대 보증금과 국민주택기금으로 건설비를 확보할 수 있어 임대 전환에 적극적이다.
임대 계약자를 확보하는 게 일반 분양보다 용이하고 임대 후 분양 전환 시점의 시세를 분양가에 반영하는 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사업 자금 회수가 늦다는 부담은 있지만 미분양 물량이 쌓이는 현 시점에서 임대 전환이 유일한 출구"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