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개구리가 어디로 뛸까?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원·달러 환율이 단기간에 달러당 1900원대로 두 배 이상 폭등한 적이 있다. 대다수 기업이 어려움을 겪었지만 조선사들은 가격 경쟁력을 회복해 역설적으로 큰 성과를 거뒀다. 배가 지어지는 공정에 따라 계약된 외화가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건조 계약 덕분이었다. 같은 외화 금액을 원화로 환전하면 두 배 이상의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반대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키코(KIKO) 사태는 많은 중소기업에 뼈아픈 상처를 남겼다. 이후 환헤지 또는 환관리가 곧 키코라는 악몽과 동일시돼 중소기업의 건전한 환위험 관리를 어렵게 하는 족쇄가 돼온 것도 사실이다.

우스갯소리로 ‘개구리와 럭비공 튀는 방향과 주가는 귀신도 모른다’는 말이 있다. 환율 역시 그런 것 같다. 겨울잠에서 깬 개구리가 어느 방향으로 뛸지 알 수 없듯 환율도 시시각각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등락을 거듭한다. 수출기업은 환율이 떨어져 손실을 보는가 하면, 예기치 못하게 환율이 올라 의외의 수익을 얻기도 한다.

대기업은 환율변동이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환위험 관리 시스템을 운영한다. 반면 중소기업은 제대로 된 환위험 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한 설문조사에서 수출 중소기업들은 환율 예측의 어려움을 환위험 관리에 적극 나서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고 한다. 많은 수출 중소기업이 환위험 관리를 타이밍으로 노려 수익을 얻는 트레이딩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실 합리적인 경영자로서 환율 변동위험에 대비하는 바람직한 태도는 ‘개구리가 어디로 뛰든지 상관없게 만드는 것’이다. 즉 환율 변동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임으로써 안정적인 경영 성과를 도모하는 것이다. 일례로 급격한 환율 변동에도 안정적인 성과를 내는 중소기업은 최고경영자(CEO)의 적극적인 관심, 사전에 확립된 환위험 관리 원칙, 장기적인 분할 헤지 등 세 가지 공통점을 보인다.

정부 차원에서 운영 중인 지원 제도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도 있다. 예를 들어 환변동 보험은 저렴한 비용과 함께 최소 가입 금액에 제한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통상 환율이 하락할 때 보상해주고, 상승하면 이익금을 환수해 환율 변동에 따른 경영 리스크를 없애준다. 환율 상승에 따른 이익을 환수하지 않는 상품도 마련돼 있다. 이를 통해 우리 중소기업들이 환위험 부담 없이 수출전선에서 활약하기를 바란다.

문재도 <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 mjd00053@ksure.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