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향기] 악보 규칙 지켜야 더 빛나는 '아 피에체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닌 세상
음악도 악보의 규칙 지켜야 감성 발산 가능
이경재 < 오페라 연출가 >
음악도 악보의 규칙 지켜야 감성 발산 가능
이경재 < 오페라 연출가 >
![[문화의 향기] 악보 규칙 지켜야 더 빛나는 '아 피에체레'](https://img.hankyung.com/photo/201611/AA.12814131.1.jpg)
노래를 잘하기 위해서는 우선 건강한 신체상태가 필요하다. 목의 상태와 호흡을 이어주는 흉곽과 복부의 근육도 중요하다. 이를 받쳐주는 하체의 힘도 필요하다. 그러고 나면 발음도 정확하게 하기 위한 구강과 안면의 근육도 이완돼 있어야 한다.
ADVERTISEMENT
신체적, 정신적으로 준비가 잘 돼 있으면 이제 노래를 부르면 된다. 악보를 펼친다. 악보를 보니 무언가 해야 할 것이 많다는 생각이 든다. 작곡가가 요구하는 다양한 사항이 악보 위에 펼쳐진다. 박자, 리듬, 음정, 음색, 빠르기, 길이 등을 제한하고 지시하는 규칙이 너무 많다. 단순히 최선을 다해 소리 내는 것이 노래하는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음정을 맞추려다 보면 호흡이 짧고, 숨을 쉬려다 보면 박자를 틀리기도 한다. 뭐 하나 잘해서 되는 일이 아님을 느낀다. 하지만 몇 번 반복해 연습도 하고 다른 사람이 부르는 노래도 듣다 보면 조금씩 감도 잡혀간다. 노래한다는 것은 악보 위의 규칙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는 것인 동시에 작곡가의 마음을 읽어내는 일이기도 하다. 내 감수성으로만 노래를 부르는 것이 아니라 작곡한 사람의 마음도 느낄 수 있다면 좀 더 그 노래에 마음을 담을 수 있을 것 같다.
ADVERTISEMENT
세상을 사는 일은 많은 규칙과 규범을 존중하고 익숙하게 지키는 일이기도 하다. 또 그러할 때 평안하고 행복한 삶을 함께 누릴 수 있다.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 있는 대로 사는 것이 세상을 잘 사는 일이 아닐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음악 기호 중에 ‘아 피에체레(a piacere)’라는 표현이 있다. ‘연주자가 원하는 대로’, ‘연주자의 자유에 따라’ 정도로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이다. 노래를 이어오다가 어느 한 부분에 다다라서 연주자가 하고 싶은 대로 연주하도록 두는 것인데, 연주자가 악보가 이야기하는 규칙을 잘 지켰을 때 이 부분은 그 어떤 부분보다 자유롭고 연주자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될 것이다.
이경재 < 오페라 연출가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