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외교법 발효 기념 심포지엄…전문가 "말하기보다 '듣는 외교' 중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3일 "우리의 외교 수단(tool box)에서 공공외교가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공공외교법' 발효를 하루 앞둔 이날 오전 국회 외교통일위와 국립외교원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심포지엄 축사에서 "나날이 복잡해지고 있는 외교전에서 정부 간 채널의 대화와 노력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상대방 국민의 마음을 얻는 공공외교는 현대 외교정책 수행의 핵심 요소가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정책 공공외교를 중점적으로 추진코자 한다"며 미국·중국·일본·유럽연합(EU) 등 핵심 지역을 상대로 북핵·통일 등 주요 정책에 대한 이해 확대를 '꾸준하고 집요하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특히 "미국 대선이 다가오면서 국내적으로 차기 미국 행정부 하에서의 한미관계 방향, 미국의 아태 재균형 정책이 과연 유지될 것인지 등에 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현재 정부는 민주, 공화 양측 후보 캠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다양한 측면에서 적극적인 대미 공공외교 활동을 통해 한미동맹의 호혜적 측면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한미동맹에 대한 민주, 공화 양당의 초당적 지지는 그 어느 때보다 공고하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그간 우리 공공외교 인프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등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했다"면서 "공공외교법은 우리나라의 공공외교에 새로운 장을 여는 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공공외교법은 정부 간 전통 외교가 아니라 상대국 국민의 마음에 다가가는 공공외교 활동의 법적 토대를 통합적으로 마련한 국내 최초의 법률로 4일 공식 발효된다.

'한국 공공외교의 도약, 그 방향을 모색한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외교부 당국자들과 전문가, 언론인 등이 공공외교법 시행의 의미와 우리 공공외교의 전략적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윤덕민 국립외교원장은 "'비(非) 하드파워' 자산을 매개로 하는 국제관계하에서는 중소국의 외교적 위치가 대폭 확장될 수 있다"며 "이런 맥락에서 한국의 공공외교는 오늘날 도약의 시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리 공공외교가 그동안 일방적 '말하기'에 머물러 왔다는 쓴소리도 나왔다.

최진우 한양대학교 교수(전 한국정치학회장)는 발제문에서 "우리나라의 공공외교는 지극히 발신자 중심적 관점에서 상대방의 변화를 촉발하려는 노력에 집중해 왔다"며 "사람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말하기' 보다는 '듣기'가 훨씬 중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상대국의 선호, 세계관,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파악, 이해하고 수용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며 이런 노력이 공공외교 자원을 더 풍성하게 하는 '선순환' 효과를 낼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태환 국립외교원 교수도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 및 통일공공외교는 여전히 선전적 성격이 지배적"이라며 "'협력형 공공외교'를 본격적으로 시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kimhyoj@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