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본격화하고 있는 서울역세권 통합 재생사업이 실현되기 위해선 민간기업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시가 계획한 사업이 대부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재정 사업이 아닌 민간 공모형 사업이거나 재개발·도시환경정비사업 등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서울역 인근 철도부지 소유주인 코레일이 지난해 제시한 공모지침서를 검토했던 부동산 개발업체 관계자들은 서울역세권 개발의 핵심 지역 중 하나인 북부역세권 개발은 수익성이 낮아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입을 모았다. 지금의 도시계획대로 라면 대기업이 사옥 용도로 건물을 올리는 정도의 개발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북부역세권 개발은 서울역 주변 자투리땅과 철로부지 5만5000㎡에 컨벤션센터와 부대시설인 호텔, 오피스텔, 쇼핑몰 등으로 구성된 국제교류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코레일이 사업을 재개했지만 민자 사업자로 참여한 한화컨소시엄은 5개월 만에 사업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지난달 사업을 포기했다.

이 사업은 철도부지를 덮어 인공대지를 조성한 뒤 건물을 건축해야 하는 탓에 상대적으로 공사비가 많이 들어간다. 수익성이 높은 상업시설과 오피스텔 등의 비율을 높여야 하지만 서울시는 코레일과 한화컨소시엄의 시설 변경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서울시는 코레일과 협의해 올 하반기에 민자 사업자 재공모를 통한 북부역세권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한 부동산 개발업체 관계자는 “관(官)에서 일방적으로 구역을 특정 시설로 지정한다고 해서 바로 건축물이 지어질 수 있는 게 아니다”며 “특히 강북에선 시가 적극적으로 규제를 완화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사업이 돌아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기간 방치되면서 낙후된 중림·만리동과 회현동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도 과제다. 이들 지역은 지구단위 계획, 재정비지구 등으로 지정돼 있지만 사업은 수십 년간 제자리걸음이다. 서울시와 중구청은 연구 용역을 통해 적절한 사업여건 개선 방안을 마련해 주민들의 사업 의지를 불러일으킨다는 계획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