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나경원, 리퍼트 휴일 병문안

새누리당은 8일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의 피습 사건을 이른바 '종북 세력'이 저지른 일로 규정하고 이른바 '숙주론'을 꺼내들어 야당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제19대 총선에서 위헌 정당으로 해산된 통합진보당과 연대를 통해 국회의원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해 종북 세력이 성장할 토양을 제공했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이다.

박대출 대변인은 논평에서 "야당 국회의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기자회견을 한 일도 여러 차례인 김기종 씨가 어엿한 시민운동가로 행세한 데는 야당 의원들과의 교류가 한몫 했다"면서 "김 씨는 국회 마이크를 잡고 반체제 주장을 펼치는, 일반인은 상상도 할 수 없는 특혜를 받았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야당이 종북과 손잡은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며, 사상 초유의 테러에 대해 야당이 해명할 부분이 있다"라면서 "김 씨가 7차례나 방북하고, 성공회대 외래교수를 지낸 것은 모두 야당이 집권하던 시기에 이뤄졌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지금은 새정치민주연합이 종북몰이 운운하며 역색깔론을 펼칠 때가 아니라 종북 숙주에 대한 참회록을 쓸 때"라고 비판했다.

앞서 김무성 대표와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이날 오전 리퍼트 대사가 입원 중인 신촌 세브란스 병원으로 찾아가 위로를 전하고, 한미동맹 강화를 포함한 양국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이번 사건은 종북 좌파들이 한미동맹을 깨려는 시도였지만 오히려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하고 더 결속시키는 계기가 됐다"면서 "이 일을 한미 혈맹관계가 더욱 굳건히 되도록 노력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나 위원장은 MBC '시사토크 이슈를 말한다'에 출연해 "초기 대응은 정부가 비교적 잘했다고 생각한다"면서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차관의 발언과 이 테러와의 연관성을 얘기 하면서 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당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국회에 계류 중인 테러 방지법을 강하게 추진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국가정보원장 소속으로 '테러통합대응센터' 설치를 골자로 한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을 제출한 이병석 의원은 9일 오전 국회에서 '테러방지법안 통과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김연정 기자 aayy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