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스포츠 인프라 건설에 막대한 국민 세금이 투입됐는데도 적자가 우려되는 종목은 야구뿐이 아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축구대회를 위해 지은 전국의 10개 경기장 중 상암월드컵경기장을 제외한 대부분이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월드컵 경기장 10개를 짓는 데 들어간 비용은 2조원가량이다. 완공 후 10여년이 지난 지금 수입 대비 유지비에 비춰 적자를 보는 곳이 6개다.

최근 4년 동안 대전·제주·전북월드컵경기장의 누적 적자는 각각 63억원, 33억원, 28억원에 달했다. 상암경기장이 연간 100억원 규모의 흑자를 내고 있는 것을 비롯해 광주·전주·수원경기장 정도만 소폭 흑자다.

대부분의 축구장이 K리그 축구단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경기가 열리지 않으면 운동장은 거의 텅 빈다. 전문가들은 지방 월드컵 경기장 대부분은 시 외곽에 지어져 접근성이 떨어지고, 유동인구가 많지 않다는 점을 이유로 든다.

상암경기장은 기본설계 당시부터 스포츠센터, 영화관 등의 입주가 예정되는 등 수익 창출 기반이 어느 정도 마련돼 있었다. 여기다 상암경기장을 운영하는 서울시설관리공단은 대형 할인점 등 유동인구를 끌어 들일 수 있는 시설을 추가로 입점시켰다.

필하모닉오케스트라, 투란도트, 아시아송페스티벌 등 대규모 공연을 유치해 수익을 창출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