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사업추진 주체(재개발추진위원회·조합)가 있는 뉴타운·재개발구역의 출구전략을 본격화하고 나섰지만, 사업포기지역이 늘어날 경우 매몰비용(사용비용)이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부동산시장 침체로 조합원들의 추정 분담금이 많은 지역의 상당수는 포기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서울시 분석자료에 따르면 1개 조합추진위와 조합이 사용한 평균 사업비용은 각각 4억원과 50억원에 이른다. 이번 실태조사에 들어가는 70개 구역(조합 47곳·추진위 23곳)이 사업을 취소하면 매몰비용(조합 2350억원·추진위 92억원)만 2442억원에 이른다. 시는 추진주체가 있는 구역의 매몰비용에 대해서는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다.

정비사업을 둘러싼 조합원 간 갈등도 풀어야 할 숙제다. 5개 실태조사 시범구역 가운데 한 곳인 신길동 ‘신길9재정비촉진구역’은 1126가구의 아파트를 신축하는 건축심의와 사업시행인가를 끝내고 현재 조합원들로부터 아파트 분양신청을 받고있다. 이능수 조합 총무이사는 “조합원 분양가와 일반분양가(3.3㎡당)가 1400만원과 1600만원대로 사업성이 있는 구역”이라며 “소수의 반대파가 서울시와 구청에 민원을 제기하면서 조합원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