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에는 12월 거래량 35~64% 늘어나

취득세 감면 종료 시점이 한달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거래량이 한시적으로 증가하는 '막달 효과'가 나타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2010년 이후 한시적 취득세 감면 기간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마지막 한달 거래량이 35~6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2010년 이후 한시적 취득세 감면 조치는 2010년(1~12월), 2011년(3~12월), 올해(9~12월) 등 3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9억원 초과 주택을 매입한 다주택자에 한해 취득세를 2%로 반감해줬던 2010년은 1~11월 월평균 거래량이 4만5천969건이었으나 12월에는 7만5천255건으로 64% 증가해 막달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9억원 이하 1주택자는 1%, 9억원 초과 다주택자는 2%로 각각 반감했던 2011년도 12월 전국 거래량이 7만6천918건을 기록해 평균 5만7천126건보다 35% 늘었다.

특히 지방은 12월 거래량이 5만1천619건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는 취득세 감면 기간이 3개월에 불과했고 12월 대선에 따른 부동산 정책 불확실성까지 겹쳐 막달 효과도 예년같지 못할 것으로 업체는 전망했다.

특히 올해는 9월 거래량이 2만6천165건으로 작년 동기간 5만260건의 '반토막'에 그치는 등 부동산시장이 꽁꽁 얼어붙어 막달 효과를 기대하기가 더 어렵다.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은 "올해는 3~5월 봄 이사철 거래량만 4만건을 넘었을 뿐 거래 위축이 심각해 취득세 감면 막달인 12월도 올해 월별 거래량 최고치인 4월 4만6천여건을 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내년부터 취득세를 2~4%로 원상 복귀시키는 법 개정안은 최근 국무회의를 통과해 국회 본회의만 남겨두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유진 기자 eugen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