先 `새정치공동선언' 後 `룰협상' 경로 전망
담판으로 시작돼 담판으로 `대미' 장식할 듯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6일 `후보 등록(25∼26일) 이전 단일화'를 포함한 7개항에 전격 합의함에 따라 24일을 D-데이로 하는 '단일화 시계'가 숨가쁘게 돌아가게 됐다.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와 본선에서 맞붙을 야권 단일후보의 고지를 놓고 양측이 20일간 야권의 명운이 달린 대장정에 오르게 된 셈이다.

두 후보의 단일화는 1997년 김대중-김종필 `지역연대', 2002년 노무현-정몽준 `인물연대'를 뛰어넘어 정권창출 이후의 세력통합과 공동정부 운영까지 시야에 둔 `가치연합'이라는 점에서 협상 과정도 한층 복잡다기한 양상을 띨 전망이다.

두 후보의 승패를 직접적으로 좌우할 단일화룰 뿐 아니라 정치혁신과 공동정책, 세력통합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두 후보가 새정치 및 정당혁신의 내용과 정권교체를 위한 연대의 방향을 담은 `새정치공동선언'을 `우선적으로' 국민 앞에 내놓기로 함에 따라 단일화 협상은 `선(先) 새정치공동선언, 후(後) 룰협상'의 경로를 밟게 될 전망이다.

후보 등록일인 25일을 기준으로 역산해 보면 11월 둘째주인 이번주 곧바로 새정치공동선언을 위한 실무협상이 시작된 뒤 셋째주인 내주를 전후해 룰협상을 위한 테이블이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 후보등록 전 마지막주인 넷째주에는 실제적인 단일후보 선출 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점쳐진다.

두 후보는 `대선 승리와 정권교체를 위한 단일화', `가치와 철학이 하나되는 단일화', `미래를 바꾸는 단일화'라는 3대 원칙 하에 유불리를 따지지 않는다는데 합의했지만 협상 과정에서 벌써부터 험로를 예고하고 있다.

무엇보다 단일화 협상의 1라운드가 될 `새정치공동선언'을 합의하는 과정에서부터 기싸움이 불가피해 보인다.

두 후보는 양측의 지지자를 크게 모아내는 국민연대가 필요하다는 공감대 아래 정당혁신과 연대 방향을 새정치공동선언으로 구체화시킨다는 원칙에 합의했지만, 그 안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담을지를 놓고는 이견차가 드러날 수밖에 없다.

먼저 `정치권의 기득권 내려놓기'가 정치혁신의 첫걸음이라는데 두 후보가 합의함에 따라 안 후보측은 `기득권 포기'를 고리로 문 후보측을 압박할 공산이 적지 않으나 문 후보측이 이에 어느정도 화답할지 미지수이다.

이 과정에서 민주당의 인적쇄신 문제가 다시 불거져나올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민연대'라는 이름의 세력통합 방식을 놓고도 문 후보측이 안 후보의 입당을 우선적으로 선호하고 있는데 반해 안 후보측이 이에 응할 가능성은 낮아 보여 구체적인 연대ㆍ연합의 틀을 도출하는데 진통이 예고된다.

어떤 쪽으로 결론이 나느냐에 따라 대선의 길목에서 야권발 정계개편이 촉발될 수 있는 지점이다.

이번 합의문에는 포함돼 있지 않지만 향후 불거질 수 있는 권력분점을 통한 공동정부 구성 문제도 그 이면에는 `지분 나누기'를 내포하고 있어 녹록지 않은 과제이다.

양측의 승패를 직접적으로 가를 경선 방식과 협상 시기를 놓고도 밀고 당기기가 예고된 상태다.

여론조사에 더해 경선 방식을 가미하길 원하는 문 후보측은 새정치공동선언 작업과 동시에 한시라도 빨리 경선룰 마련을 위한 실무협상 채널이 가동되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여론조사에서 앞서는 안 후보측이 선뜻 응할지는 불확실하다.

실무협상을 통해 `룰'을 정한 뒤 두 후보의 담판에서 이에 `도장'을 찍었던 2002년 `노무현-정몽준'간 단일화와 달리 이번에는 두 후보가 보다 전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당장 두 후보는 새정치공동선언 내용이 합의되는대로 다시 만나 이를 함께 발표하기로 했다.

물밑에서 실무채널이 분주히 가동되긴 하겠지만, 이번 단일화 협상이 두 후보의 담판으로 시작해 담판으로 대미를 장식할 가능성이 적지 않음을 예측케 하는 대목이다.

두 후보의 승부를 가늠짓는데는 결국 지지율이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여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양 후보측의 사활을 건 경쟁도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질 경우 야권 원로들의 원탁회의 등 장외인사들의 중재가 효력을 발휘할지도 관심거리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