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한류’의 영향으로 해외 대학생의 한국 유학이 확산되자 정부가 2020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20만명을 국내에 유치하고 이들을 활용해 친한(親韓)·지한(知韓) 네트워크를 만드는 계획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 초청 장학생 사업 규모도 2015년까지 연 1000억원, 2020년까지 연 2000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정부는 29일 김황식 총리 주재로 제12차 교육개혁협의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스터디 코리아(Study Korea) 2020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2005년 시작된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에 힘입어 국내 대학에서 공부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2004년 1만6832명에서 올해 8만6878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이에 정부는 한걸음 더 나아가 2020년까지 해외 유학생을 연간 20만명까지 유치해 국내 고등교육기관 내 유학생 비율을 2009년 2%에서 2020년 5.4%까지 높인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지원하는 한국유학종합시스템(www.studyinkorea.go.kr)을 활성화하고 외국인 유학생 공동기숙사 및 복합문화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본지 9월8일자 A1면 참조

정부가 돈을 대 우수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는 ‘GKS(Global Korea Scholarship) 사업’ 규모도 내년 605억원에서 2015년까지 연간 1000억원, 2020년까지 연간 2000억원으로 확대된다. 정부 초청 장학생 숫자도 올해 400명 수준에서 2015년 1000명으로 늘린다.

정부 초청 장학생 가운데 선발된 일부 학생은 한국경제신문과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공동주최하는 ‘글로벌 인재포럼’에 참석, 세계적 석학 및 글로벌 기업 리더 등과 만나는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 역대 장학생 가운데는 미국의 그레그 스칼라튜 북한인권위원회(HRNK) 사무총장과 필리핀 대법원 판사 등 각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주요인사들이 많다. 교과부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의 국가유학관리기금과 같은 GKS기금을 조성해 미국 풀브라이트처럼 한국의 대표 장학사업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로 온 해외 유학생 가운데 중국인 비중이 올해 63.8%에 달할 정도로 쏠림현상이 지나치고 이들 가운데 일부는 학생비자로 입국했으면서도 취업을 목적으로 불법체류하는 사례가 적지않아 유학생 유치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일부 지역대학들이 재학생 충원율을 높이기 위해 자격 미달인 중국 학생을 채워넣는 점도 문제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학생비자 남발로 유학생 유치가 불법근로자 유입 통로로 전락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유학생 관리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