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700억불 수주 총력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토해양부가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액인 700억달러 달성을 위해 총력지원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9월 말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401억달러로 목표액까지 약 300억달러가 부족한 상황이다.
하지만 계약만 남겨 놨거나 한국 업체끼리 경쟁하는 경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있는 공사 등 수주가 사실상 확정됐거나(170억달러) 수주가 유력한 공사(30억달러)가 총 20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여기에 국내 업체가 입찰에 뛰어든 1500억달러 규모의 공사 중에도 추가 수주가 유력한 공사가 100억달러 이상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상주 국토부 해외건설정책과장은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연말까지 700억달러 달성이 어렵지 않은 것으로 판단됐다”며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수주 활성화를 위해 지난 2월부터 아시아,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일대 15개국을 중점협력국으로 정하고 시장개척자금 지원, 민관합동 시장개척단 파견 활동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0건이었던 고위급 공무원 지원단 파견도 올해에는 15회로 늘렸다. 권도엽 국토부장관도 세 차례에 걸쳐 사우디와 카타르, 태국 등을 방문해 수주 지원에 나섰다.
국토부는 4분기(10~12월) 300억달러 추가 수주에 차질이 없도록 해당 건설사와 협의해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연말까지 상시 수주 점검체계를 가동, 수주가 유력하나 연내수주가 불확실한 공사(160억불 규모)에 대해 입찰참여 기업과 협의해 수주지원단 파견 또는 장관명의 서한 발송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오는 12월에는 중동과 남미에 장·차관급 수주지원단도 추가 파견한다. 중소·중견 건설사에 대한 시장개척자금 지원, 건설공제조합의 보증 강화, 해외건설 전문인력 양성 등 지원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올해 수주 700억달러 달성으로 선박·석유제품·반도체·자동차 등 주요 산업을 뛰어넘어 해외건설이 수출 1위의 효자산업으로 위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지난 9월 말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401억달러로 목표액까지 약 300억달러가 부족한 상황이다.
하지만 계약만 남겨 놨거나 한국 업체끼리 경쟁하는 경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있는 공사 등 수주가 사실상 확정됐거나(170억달러) 수주가 유력한 공사(30억달러)가 총 200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여기에 국내 업체가 입찰에 뛰어든 1500억달러 규모의 공사 중에도 추가 수주가 유력한 공사가 100억달러 이상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상주 국토부 해외건설정책과장은 “해외건설 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연말까지 700억달러 달성이 어렵지 않은 것으로 판단됐다”며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수주 활성화를 위해 지난 2월부터 아시아,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일대 15개국을 중점협력국으로 정하고 시장개척자금 지원, 민관합동 시장개척단 파견 활동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0건이었던 고위급 공무원 지원단 파견도 올해에는 15회로 늘렸다. 권도엽 국토부장관도 세 차례에 걸쳐 사우디와 카타르, 태국 등을 방문해 수주 지원에 나섰다.
국토부는 4분기(10~12월) 300억달러 추가 수주에 차질이 없도록 해당 건설사와 협의해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연말까지 상시 수주 점검체계를 가동, 수주가 유력하나 연내수주가 불확실한 공사(160억불 규모)에 대해 입찰참여 기업과 협의해 수주지원단 파견 또는 장관명의 서한 발송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오는 12월에는 중동과 남미에 장·차관급 수주지원단도 추가 파견한다. 중소·중견 건설사에 대한 시장개척자금 지원, 건설공제조합의 보증 강화, 해외건설 전문인력 양성 등 지원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올해 수주 700억달러 달성으로 선박·석유제품·반도체·자동차 등 주요 산업을 뛰어넘어 해외건설이 수출 1위의 효자산업으로 위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