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미래를 논의하기 위한 포럼을 준비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지금 이대로라면 세종시의 미래를 장담키는 어렵습니다.”(유한식 세종시장)

세종시의 발전방안과 미래를 논의하는 잔칫날 이게 무슨 얘기일까. 지난 5일 오후 대전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는 600명이 넘는 사람들로 붐볐다. ‘국토 균형발전과 세종시 발전’이란 주제를 논의하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이 언론사 최초로 마련한 ‘세종컨퍼런스 2012’를 참관하기 위해서였다.

포럼의 열기는 뜨거웠다. 주최 측이 예상한 500명을 웃도는 참가자가 몰리면서 행사장 뒤쪽에 선 채로 발표자들의 설명에 귀기울이는 사람들도 많았다. 염홍철 대전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유한식 세종시장 등 충청권 단체장들과 인근 지역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것도 포럼에 대한 높은 관심을 짐작케 했다.

지난 7월1일 출범한 세종시는 2014년까지 9부 2처 2청 등 모두 36개 정부기관이 들어선다. 행정기능과 함께 과학과 비즈니스, 문화가 결합된 복합도시로 개발되는 세종시가 ‘신(新)성장 메카’로 발돋움할 것이란 게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었다.

신중론도 적지 않았다. 특히 충청권 단체장들은 잇따라 우려의 목소리를 쏟아냈다. 염 시장은 “정부의 추가 지원 없이는 세종시가 제2수도로 발돋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세종시특별법을 조속히 개정해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방안 등을 담아달라는 얘기다.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비(非)수도권과 수도권 간의 갈등도 이날 포럼에서 집중 논의됐다.

‘세종컨퍼런스 2012’를 통해 세종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가닥이 잡혔지만, 구체적인 대책은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았다. 2002년 9월 노무현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공약으로 처음 내건 이후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궈온 세종시 논란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듯 보였다.

세종시는 그동안 지적됐던 행정기능의 비효율성 여부를 떠나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국가적 사업이 됐다. 정파와 지역 등 서로의 이해관계를 떠나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 “세종시를 둘러싼 갈등은 정치권이 세종시는 뒷전인 채 표만 의식하고 다퉜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이우종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회장의 지적을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강경민 지식사회부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