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 선거 등록일 마감일이 11일로 다가오자 정치권의 이들 표심잡기 경쟁도 달아오르고 있다.

국내에선 당이 중심이 돼 공약 및 홍보전략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현지에선 한인 정치조직을 통해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현지 지지조직과 연계해 지지층의 투표 신청을 독려하는 한편 재외국민의 권익 보호와 정치적 활동 확대를 위한 정책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새누리당은 단기 체류자보다 보수적 성향이 강한 영주권자들의 투표율을 높이는 방안에 주력하고 있다. 당에서 영주권자들도 단기 재외 체류자처럼 우편으로 투표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그래서다. 외국 영주권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국내 주민등록을 유지하게끔 허용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민주통합당은 당헌상의 재외한인 지원조직인 세계한인민주회의를 중심으로 맞춤형 전략을 짜고 있다. 영주권자가 많은 미국·일본은 ‘한글학교’를, 단기 체류자가 대부분인 중국과 동남아, 남미 등은 ‘한국학교’를 각각 지원하는 등 각 지역에 적합한 ‘맞춤형 정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국내에 세금을 내면서도 교육과 의료 등에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재외국민을 지원하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본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박정희 정부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민주당 지지 성향의 ‘민주포럼’이 현지에서 만들어졌다.

정치권은 지역별로 표가 분산되는 이번 4·11 총선보다 오는 12월 대선에서 재외국민 투표가 한층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선거가 박빙으로 흐를 경우 재외국민 선거인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앙선관위는 재외국민 선거인을 223만6803명으로 예측하고 있다. 대선에선 비례대표만 뽑는 총선보다 더 많은 유권자가 참여할 것으로 정치권은 판단하고 있다.

최근 세 번의 대통령 선거 중 1·2위 간 득표 격차가 가장 작았던 것은 15대로, 김대중 당시 국민회의 후보는 39만557표 차이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따돌렸다. 16대 선거에서 1위 노무현 민주당 후보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 사이 표 차는 57만980표였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