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건설, 국내 최초로 ‘패시브하우스’ 인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청 청라지구 A6블록 한라비발디 내 노인정이 인증 대상
공동주택 부속건축물 우선 적용..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갈 방침
한라건설이 국내 최초로 독일 패시브협회(PHI, Passive House Institute )로부터 ‘패시브하우스’인증을 받았다.
한라건설은 지난 5일 인천 청라지구 A6블록에 짓고 있는 한라비발디 아파트 내 부속동인 노인정이 ‘패시브하우스’로 인증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패시브하우스’란 독일에서 시작된 에너지 저감형 건축물로 벽체 열관류율 0.15W/(㎡K) 이하, 창호 및 현관문 열관류율 0.8W/(㎡K) 이하, 열교환기 효율 75% 이상(소비전력량 0.45Wh/㎥)으로 년간 15kWh/㎡ 이하(석유 1.5리터 해당)의 난방에너지를 사용하며 전체 1차 에너지를 120kWh/㎡ 이하로 소비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지금까지 국내에는 2리터, 3리터 하우스 등이 건립된 적은 있지만 패시브하우스의 원조국인 독일의 1.5리터 이하의 기준을 충족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라건설은 독일의 기준에 적합한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지붕, 벽체에 320㎜ 우레탄 폼보드를 이용한 외단열과 열관류율 0.8W/(㎡K) 이하의 고기밀 창호와 현관문, 기밀성, 열교차단재, 열교환 환기장치 등의 다양한 요소기술을 적용했다.
건축물 내부에서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공기의 질을 향상시켜 이용자가 쾌적한 생활을 가능케하는게 이 건물의 특징이다.
한라건설은 이번 인증을 계기로 패시브하우스 기술을 공동주택 부속건축물에 우선 적용하고 점진적으로 공동주택 저층부 및 저층형 건축물, 공동주택 전체 등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에너지 저감형 건축물(패시브+고효율기자재+에너지절감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의 요소기술을 연구 개발해 2025년 이전까지 에너지 제로 하우스를 구현할 방침이다.
한편, 한라건설의 이번 ‘패시브하우스 인증’은 아시아권에서 일본에 이어 두 번째이며 국내 비주거 건축물 부문 최초의 국제인증이다. 특히 기존의 전시성 건축물을 벗어나 실제 생활시설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한경닷컴 이유선 기자 yury@hankyung.com
공동주택 부속건축물 우선 적용..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갈 방침
한라건설이 국내 최초로 독일 패시브협회(PHI, Passive House Institute )로부터 ‘패시브하우스’인증을 받았다.
한라건설은 지난 5일 인천 청라지구 A6블록에 짓고 있는 한라비발디 아파트 내 부속동인 노인정이 ‘패시브하우스’로 인증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패시브하우스’란 독일에서 시작된 에너지 저감형 건축물로 벽체 열관류율 0.15W/(㎡K) 이하, 창호 및 현관문 열관류율 0.8W/(㎡K) 이하, 열교환기 효율 75% 이상(소비전력량 0.45Wh/㎥)으로 년간 15kWh/㎡ 이하(석유 1.5리터 해당)의 난방에너지를 사용하며 전체 1차 에너지를 120kWh/㎡ 이하로 소비하는 건축물을 말한다.
지금까지 국내에는 2리터, 3리터 하우스 등이 건립된 적은 있지만 패시브하우스의 원조국인 독일의 1.5리터 이하의 기준을 충족시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라건설은 독일의 기준에 적합한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지붕, 벽체에 320㎜ 우레탄 폼보드를 이용한 외단열과 열관류율 0.8W/(㎡K) 이하의 고기밀 창호와 현관문, 기밀성, 열교차단재, 열교환 환기장치 등의 다양한 요소기술을 적용했다.
건축물 내부에서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공기의 질을 향상시켜 이용자가 쾌적한 생활을 가능케하는게 이 건물의 특징이다.
한라건설은 이번 인증을 계기로 패시브하우스 기술을 공동주택 부속건축물에 우선 적용하고 점진적으로 공동주택 저층부 및 저층형 건축물, 공동주택 전체 등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에너지 저감형 건축물(패시브+고효율기자재+에너지절감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의 요소기술을 연구 개발해 2025년 이전까지 에너지 제로 하우스를 구현할 방침이다.
한편, 한라건설의 이번 ‘패시브하우스 인증’은 아시아권에서 일본에 이어 두 번째이며 국내 비주거 건축물 부문 최초의 국제인증이다. 특히 기존의 전시성 건축물을 벗어나 실제 생활시설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한경닷컴 이유선 기자 yur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