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을 거듭해온 신한금융지주 내분사태가 오는 14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정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신한사태는 지난 2일 신한은행이 전 은행장인 신상훈 신한금융 사장을 배임 및 횡령 혐의로 검찰에 전격 고소하면서 촉발됐다.

재일동포 주주들로부터 공을 넘겨받은 신한금융 이사회가 14일 어떤 결론을 내느냐에 따라 그룹 수뇌부 `3인방'의 운명도 갈릴 전망이다.

사안이 중대하고 변수가 많은 만큼 결론을 섣불리 점치기가 쉽지 않다.

또 이사회를 계기로 이번 사태의 가닥이 잡힌다 하더라도 신한금융은 당분간 여진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이사회 결과 시나리오 `무성'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 이사회를 이틀 앞둔 이날까지도 이사회 결과를 놓고 시나리오가 무성하다.

가장 유력한 방안으로는 `신 사장 해임안 상정→가결'이 거론된다.

신한금융 이사회가 라응찬 회장에 유리한 구도여서 라 회장의 주장이 관철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에서다.

하지만 이때도 두 가지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사외이사들이 사전에 의견을 통일해 만장일치로 해임안을 통과시키는 경우와 이사들 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표 대결을 벌인 끝에 가결되는 경우다.

만장일치 통과라면 라 회장과 이백순 행장은 사태 수습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반면 표결에서 반대표가 나오면 라 회장은 리더십에 상처를 입고, 사태 수습 과정에서도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재일동포 주주들 사이에서 신 사장에 대한 동정론이 여전히 우세해 일부 재일동포 사외이사들이 신 사장의 손을 들어줄 가능성도 있다.

해임안이 부결된다면 라 회장과 이 행장은 문책론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해임보다 수위가 낮은 직무정지 쪽으로 결론이 날 가능성도 언급된다.

신 사장의 업무 수행을 제한한다는 면에서 해임과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해임안 상정에 따른 이사들의 심적 부담을 덜 수 있어 중재안으로 꼽힌다.

하지만 라 회장과 신 사장 양측이 중재안을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이외에도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본 뒤 신 사장의 거취를 재논의한다거나 신 사장의 주장대로 경영진 3명이 공동 퇴진한 뒤 중립적인 인사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사태를 수습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가능성도 완전히 할 수 없다.

◇후폭풍 거셀듯
금융권은 이사회가 어떤 결과를 내놓든 간에 신한금융과 라 회장, 신 사장, 이 행장 등 신한사태의 주역 3명 모두 큰 상처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이사회 이후에도 이번 사태의 여진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오히려 더 큰 후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우선 노조가 반발할 가능성이 크다.

수뇌부 사이의 내분이 바깥으로 비화돼 신한금융의 신뢰가 실추된 것과 관련해 책임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신한금융 내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금융투자, 신한생명, 제주은행 등 5개 그룹사 노조는 지난 10일 공동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렸다.

김국환 비상대책위원장(신한은행 노조위원장)은 "이번 사태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통일된 목소리를 내기 위해 비대위를 구성했다"며 "검찰 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신 사장 해임이나 직무정지에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신 사장측 대응도 주목된다.

신 사장은 사장직에서 물러나 검찰 조사를 받게 된다.

일각에서는 궁지에 몰린 신 사장이 조사과정에서 그룹과 라 회장과 관련한 `비장의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신한금융을 지지해온 `삼각편대'의 한 축이 무너진 만큼 신한금융의 지배구조도 재정비될 것으로 보이며, 이 과정 역시 순탄치는 않을 전망이다.

금융권은 내년 3월 주주총회 때까지는 대표이사 사장 자리를 공석으로 둔 채 라 회장과 이 행장의 2인 체제로 갈 것으로 보고 있다.

대표이사 자리를 두고 정부가 지지하는 외부 인사의 이름이 거론된다면 신한사태는 `관치금융' 논란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와중에 금융감독원 조사에서 라 회장마저 금융실명제법 등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난다면 신한금융의 지배구조는 송두리째 흔들릴 가능성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이사회 이후에도 이번 사태를 마무리짓고 신한금융의 옛 명성을 되찾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최현석 기자 fusionjc@yna.co.krharris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