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아파트 '귀한 몸'…삼성동 59㎡ 월세 220만원 최고
서울 잠실동 레이크팰리스에 사는 김모씨(64) 부부는 노후 대비를 위해 인근 리센츠 39㎡(공급면적 기준 · 12평 · C타입) 두 채를 1년여 전 매입해 임대사업을 시작했다. 지하철 2호선 신천역 역세권에 직장인 수요가 몰려 매달 받는 월세만 각각 150만원씩 총 300만원이다. 매입한 뒤 집값도 두 채를 합해 6000만원 올랐다. 김씨는 "임대수익을 안정적으로 얻는 데는 오피스텔보다 아파트가 낫다"며 "잘만 고르면 시세차익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초소형 아파트 수요 증대에 공급 못 미쳐

부동산시장 침체로 투자상품을 찾기 힘들어지면서 역세권 초소형 아파트 임대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파트 임대수익률은 연 평균 4~5% 수준으로 오피스텔(연 6~7%) 보다 낮지만 안정적인 월세와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특히 33~66㎡(10평대) 초소형 아파트는 향후 공급부족으로 가격상승을 기대할 만하다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한국경제신문이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와 함께 서울지역 초소형 아파트를 전수 조사한 결과 서울의 공급면적 33~66㎡(10평대) 아파트는 총 10만6465채로 1980년 이전에 건축된 아파트가 6만6788채였다. 초소형 아파트 10채 중 6채가 노후도가 심한 아파트란 뜻이다. 2000년 이후 지어진 초소형 아파트는 5467채에 불과하다. 서울지역 전체 아파트 150만여채 중 0.4% 수준이다.

김신조 내외주건 대표는 "1~2인세대가 늘어나면서 초소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확대되고 있지만 공급이 받쳐주지 못하고 있다"며 "초소형 아파트는 더욱 '귀한 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초소형 아파트 '귀한 몸'…삼성동 59㎡ 월세 220만원 최고


◆삼성힐스테이트 월세 220만원 최고가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서울지역에서 1996년 이후 지어진 시가 2억원 이상 33~66㎡(10평대) 아파트는 3633채다. 이가운데 1419채가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에 몰려 있다. 가장 비싼 단지는 삼성동 삼성힐스테이트2단지 59㎡(18평)로 5억3500만원을 호가한다. 월세도 보증금 3000만원에 22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7호선 청담역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작년에 비해 월세가 두 배 가까이 뛰었다"며 "이것도 물건이 없어 월세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했다.

강남권 33~66㎡(10평대) 아파트 월세는 대부분 100만원(보증금 3000만원 기준)을 훌쩍 넘겼다. 역삼동 역삼아이파크 33㎡(10평)가 150만원,서초동 한신리빙타워 52㎡(16평)가 월 120만원 선이다.

강북지역에선 용두동 청량리 민자역사 인근 '롯데캐슬피렌체' 52㎡(16평)가 월 100만원으로 임대료가 가장 비쌌다. 단지 내 부동산허브공인 관계자는 "주방시설 등이 풀옵션이다보니 월세 수요자들이 항상 있다"며 "물건이 나오는 대로 바로 소화되고 월세가 떨어진 적이 한번도 없었다"고 말했다.

나머지 강북권은 월세가 100만원 선에 못 미친다.

◆초소형,노원구,7호선 역세권에 집중

역세권 33~66㎡(10평대) 월세 아파트의 주된 수요층은 도시 중심권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다. 이들은 '지하철 역세권'을 월세 아파트의 최우선 요건으로 삼는다. 이번 조사결과 강남권을 관통하는 지하철 7호선(청담역,학동역,남구로역,상도역)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노량진동 '상도건영(상도역)',구로동 '구로두산위브(남구로역)'는 디지털가산단지와 가까워 월세 수준도 70만~80만원으로 다소 높았다.

구별로는 노원구에 2만6167채가 집중됐다. 상계동에 재건축을 앞둔 주공단지들이 많아서다. 다음으로 강남구 1만5995채,강동구 1만2058채,송파구1만1327채등에 많이 분포됐다. 종로구(137채),중구(140채),은평구(148채) 등에는 초소형 아파트가 거의 없었다.

성선화 기자 d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