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정부가 우리금융지주를 다른 금융지주회사에 합병시키는 방식의 민영화를 추진키로 가닥잡은 것으로 알려졌고,금융연구원 등도 '금융선진화를 위한 비전 및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인수합병을 통한 은행 대형화의 필요성을 적극 강조했다. 특히 선진국 금융이 위축된 지금이야말로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최근'금융빅뱅'시리즈를 통해 이 문제를 집중 조명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그동안 우리금융 민영화는 그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줄곧 지연되면서 정부의 민영화 의지 자체에 대한 회의가 없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정부는 지난 2001년 우리금융그룹을 출범시키면서 '4년내 민영화'를 약속하고 금융지주회사법에도 매각 시한을 의무조항으로 넣었다. 그러나 2005년 시한연장을 거쳐 2008년에는 아예 매각시한을 없애 버렸다. 이처럼 민영화가 기약없이 표류하면서 회수된 공적자금은 투입원금 12조7663억원의 겨우 32%에 불과한 4조881억원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금융회사의 글로벌화가 어느 때보다 시급하고,선진국 은행과의 격차를 감안하더라도 우리금융의 민영화를 더 이상 머뭇거려서는 안될 이유다. 정부 복안대로 자산 규모 295조원(2009년 9월 현재)인 우리금융이 합병방식으로 다른 은행에 인수되면,국내 최대자산을 갖는 초대형 금융회사로서 글로벌 은행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굳힐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물론 미국과 영국 등이 대형은행에 대한 규제를 추진하면서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한 문제제기도 없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 경제규모에 비춰 아직 국내 은행은 여전히 숫자가 많고 규모 또한 영세하기 짝이 없다. 글로벌 경쟁력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덩치를 키우는 것이 급선무인 것이다.

우리금융 민영화가 미뤄질수록 금융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울 기회를 놓칠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인수합병이든,시장매각이든 하루빨리 민영화를 서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은행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형화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는 최선의 민영화 방안과 절차를 강구,신속하게 추진하는 것이 전제조건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