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15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 당사국 총회는 19일 '코펜하겐 협정(Copenhagen Accord)'을 공식 인정하기로 하고 막을 내렸다.

다음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본 기후변화 관련 주요 일지다.

▲1827년 = 프랑스 과학자 장-밥티스트 푸리에, 지표면 온도 높이는 '온실효과' 처음 제기.
▲1896년 = 스웨덴 화학자 스반트 아르헤니우스, 이산화탄소 배출하는 화석연료 사용 비난.
▲1958년 = 미국 과학자 찰스 데이비드 킬링, 2차대전 후 호황기 화석연료 사용 증가에 따른 대기중 이산화탄소량 매년 증가 발견.
▲1970년대 = 유럽과 미국 과학자들, CFCs(염화불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등도 온실가스로 규명.
▲1979년 = 미국국립과학아카데미(NAS), 온실가스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기념비적 보고서 통해 '두고보자'는 식의 정책은 너무 늦을 수 있다고 경고.
▲1988년 = 유엔 기후변화정부간위원회(IPCC) 발족. 지구온난화를 어떻게 측정하고 분석하는가에 대한 과학적 합의 마련의 초석이 세워짐.
▲1992년 = 리우 지구정상회의에서 체결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자발적 온실가스 배출 감축 촉구.
▲1997년 = UNFCCC 참가국들 교토의정서 서명. 교토의정서는 선진국들 6가지 온실가스를 2008∼2012년에 1990년 대비 5.2% 감축토록 요구. 복잡하고 법적 구속력 있는 이행방안들은 추후 협상과제로 남겨짐.
▲2001년 1∼3월 = IPCC, 기후 변화의 결과는 꼬집어내기 어렵지만 지구 온난화의 징후는 이견의 여지가 없음을 선언하는 3가지 보고서 발표.
▲2001년 3월 = 미국, 교토의정서 탈퇴 선언. 조지 부시 대통령, 지구온난화의 과학적 징후에 의문 제기하고 교토의정서는 불공평하며 미국경제에 너무 큰 비용 부담이라고 지적.
▲2001년 11월 = 미국 제외한 교토의정서 서명국들 의정서 이행방안에 합의.
▲2002년 이후 = 기후에 위험하고 돌이킬 수 없는 영향 미치는 지구온난화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과학적 연구결과들 잇따라 발표. 열대 빈국들이 가장 큰 피해 예상.
▲2002년 4월 = 미국 압력으로 기후변화를 경고한 주도적인 과학자인 로버트 왓슨 IPCC 의장 축출.
▲2003년 12월 = 독일계 거대 재보험사 뮌헨리, 2003년 기후관련 재해 비용 600억 달러로 추정.
▲2004년 11월 = 러시아 교토의정서 비준. 의정서 발효요건 충족됨.
▲2004년 12월 = 국제에너지기구(IEA), 중국이 경제 급성장의 동력으로 화석연료 사용이 늘어나 세계 2위 탄소배출국이라고 발표.
▲2005년 2월 = 영국 엑서터에서 열린 지구온난화 대책회의에서 지구온난화로 이미 기후가 영향받고 있으며 앞으로의 결과는 생각보다 더 나쁠 수 있다고 경고.
▲2005년 2월16일 = 교토의정서 발효.
▲2005년 11월 =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제1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및 제1차 교토의정서 당사국회의 개최.
▲2005년 12월 = 제1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교토의정서 이행을 위한 세부 지침인 `마라케시 합의문' 채택.
▲2006년 1월 =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인도, 호주 등 6개국, 아시아태평양 기후변화 파트너십 각료회의 개최.
▲2006년 5월 = IPCC, 인류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속도가 최근 2만년 동안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고 경고.
▲2006년 8월 = 세계은행, 기후 변화가 최빈국들의 빈곤 탈출 노력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
▲2006년 11월 = 미국 상무부와 항공우주국(NASA), 부시 행정부의 지구 온난화 연구 은폐 의혹 합동조사.
▲2006년 11월 =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유엔 환경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문제에 국제사회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
▲2007년 2월 = IPCC, 기후변화에 관한 종합 보고서에서 지구 온난화는 인간이 초래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금세기 안에 지구표면 온도가 섭씨 1.8~4.0도 상승할 것이라고 경고.
▲2007년 2월 = 제너럴 모터스(GM), 볼보, 에어프랑스 등 100여개 세계 대기업, 지구 온난화에 대한 신속하고 단호한 대처를 촉구하는 공동 성명서 채택.
▲2007년 3월 = EU 정상회의,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20% 높이기로 합의.
▲2007년 4월 = IPCC, 지구온난화가 생태계에 미칠 충격에 관한 보고서 발표.
▲2007년 5월 = IPCC,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혁명 이전보다 2~2.4℃ 상승하도록 묶으려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5년을 정점으로 감소되기 시작해 2050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0년 수준의 50~85% 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 발표.
▲2007년 5월 = 제8차 아시아-유럽(ASEM) 외무장관 회담, 2009년을 교토의정서 대체할 새 기후변화협약에 관한 협상 시한으로 설정.
▲2007년 6월 = 중국, 2010년까지 온실가스 9억5천만t을 감축하겠다는 지구온난화 저지 프로그램 발표.
▲2007년 6월 = 주요 8개국(G8), 교토의정서 대체할 새 기후변화 협약 체결을 위한 논의 시작하기로 합의.
▲2007년 9월 = UNFCCC 회의, 선진국들이 오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1990년과 비교해 25~40% 줄여야 한다는 대강의 원칙에 합의.
▲2007년 9월 = 16개국이 참석한 미국 주도의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주요국 회의' 개최.
▲2007년 10월 =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과 IPCC, 노벨평화상 수상.
▲2007년 11월 = 남미 기후변화회의 개최.
▲2007년 11월 = IPCC, 보고서에서 지구온난화의 급속한 진전 경고.
▲2008년 3월 = 유엔인권위원회(UNHRC), 기후변화는 인권문제라고 경고.
▲2008년 6월 = 세계 99개 대기업, 교토의정서 후속 협약 체결 촉구.
▲2009년 4월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미국이 기후변화 대응 주도하겠다는 의지 천명.
▲2009년 6월 = 미국 하원,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까지 2005년 수준의 17%, 2050년까지 83% 감축한다는 기후변화 법안 통과.
▲2009년 7월 = UNFCCC, 선진국들에 기후변화 방지 위한 기금 마련 촉구.
▲2009년 10월 = EU, 후진국들의 기후변화 대응 지원하기로 합의.
▲2009년 11월 = 한국,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4% 줄이는 '온실가스 감축 중기 목표치' 발표.
▲2009년 11월 = 미국 상원, 기후변화 법안 처리 2010년으로 연기.
▲2009년 11월 = 중국, 2020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단위 기준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0~45% 감축한다는 목표 발표.
▲2009년 12월 = 제15차 UNFCCC 회의, '코펜하겐 협정' 합의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ljglory@yna.co.kr